|
2002년 생물산업은 의약, 식품, 화장품, 농약, 환경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바이오 의약은 호르몬, 혈액관련제제, 항암제, 항생제, 성장인자, 면역제, 신경전달물질, 백신, 진단시약, 유전자요법 인공장기 등에 적용되며, 바이오 식품은 저칼로리용 대체감미료, 기능성지질, 식품첨가물, 천연식품 소재, 기능성 식품 소재, 발효식품, 식품용 효소 등에서 연구중이며, 바이오 화장품은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동향, 배양된 인공피부와 인공각막 등의 인체조직을 이용한 화장품원료의 안전성 및 효능평가 연구 등이 진행중이다. 바이오 농업 및 해양은 생물농약, 인공종자, 동물백신 및 진단제, 해양생물자원, 식물공장, 사료제, 형질전환 동·식물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기타 생물화학, 바이오 환경, 바이오 공정, 생물학적 검정 및 측정시스템 등의 분야가 21세기 바이오 산업의 주요 분야로 부각되고 있다. 바이오 관련 정부의 R&D 투자는 2000년 2500억원 규모이며 연평균 약 30% 증액하는 공격적인 정책과 함께 2000-2001년에는 많은 바이오 벤처기업들이 생겨났으나 국내 바이오 벤처기업의 무분별한 증가는 질적인 저하로 이어져 2002년에는 확실한 기반기술이 없거나 수익모델을 갖지 않은 벤처기업들은 시장에서 퇴출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상장 바이오 관련기업으로는 제약기업들과 코스닥에 등록된 마크로젠, 인바이오넷, 대한바이오링크, 대성미생물, 중앙바이오텍 등이 있으며 벤처기업성 바이오기업들도 증가추세이다. 표, 그래프 : | 주요 생물산업의 범위 | 세계 생명과학 시장동향 | 국내 생물의약품 매출전망 | 정부의 Bio산업 투자계획 | 의약품의 특성 차이 | 의약품 수입동향 | 의약품 수출동향 | 신약 출시동향(2001) | 특허기간 만료예정 의약제품 | 바이오 의약품 가격 비교 | 의약품 매출액 전망 | 국내 생물농약 시장현황 | 세계 생물농약 시장현황 | 건강보조식품 판매실적 | 건강보조식품 10대 품목(1999) | 세계 의약시장 비교 | <화학저널 2002/2/4·1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산업정책] Ⅴ. 화학산업 해외투자 - ② 일 본 | 2005-06-06 | ||
| [산업정책] Ⅴ. 화학산업 해외투자 - ① 한 국 | 2005-06-06 | ||
| [산업정책] Ⅴ. Chemicals 수급전망(2004) | 2004-02-09 | ||
| [제약] 2003 화학산업 시장전망(Ⅵ. BioChem) | 2003-02-17 | ||
| [산업정책] 2003 화학산업 시장전망(Ⅴ. Chemicals) | 2003-02-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