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C·SM 수입가격 20%대 상승
수입물가가 원유가격 상승에 따라 2002년 들어 4개월 연속 상승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4월 수출입 물가동향]에 따르면, 4월 수입물가는 원유가격이 상승세를 지속한데 따라 3월보다 2.0% 올랐다. 수출물가도 3월보다 0.5% 상승해 2002년 들어 꾸준히 오름세를 이어갔다. 수입물가는 원유(6.6%), 휘발유(13.2%) 등 원자재가 2.6% 뛰면서 상승폭을 키웠고 소비수요 증가에 따라 과일(8.6%) 등 소비재도 1.3% 올랐다. 반면, 환율하락으로 무선송수신기(-2.0%) 등 자본재는 0.1% 하락했다. 기초원자재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정책 지속 및 중동지역의 긴장 고조로 원유 등 연료광물(6.5%)가 오름세를 지속하고 종이원료(4.4%), 천연고무(4.4%) 등도 올라 3.8% 상승했다. 종이원료는 고지(古紙) 및 제지용펄프가 중국, 동남아 지역의 재고감소 및 수요증가 등으로 올라 4.4%, 천연고무는 주 수출국인 타이의 공급물량 감소 등으로 4.4% 상승 했다. 연료광물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정책 지속,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공격 등에 따른 중동지역의 긴장 고조 및 이라크의 수출 중단, 베네수엘라의 노조파업으로 인한 원유 수출차질 등으로 원유가격이 오르고 액화천연가스도 원유가격 상승 영향 등으로 올라 6.5% 상승했다. 중간원자재는 석유제품(6.5%) 및 화학제품(3.9%)이 원유 등 원재료가격 상승 및 화학 플랜트의 정기보수 실시 영향으로 오르고 섬유제품(1.3%), 나무제품(3.0%) 등도 원재료가격 상승 및 수요증가 등으로 올라 1.6% 상승했다. 석유제품은 원유가격 상승 및 미국의 석유 재고감소 등으로 휘발유, 경유, 벙커C유 등이 올라 6.5%, 화학제품은 나프타 등 원재료가격 상승, 주요 생산국의 정기보수 실시 영향 등으로 EDC, Styrene, Xylene 등 석유화학 기초제품을 중심으로 3.9% 상승했다. 수출물가는 유가상승 및 해외 철강기업 공장 보수 등으로 에틸렌(22.7%), 열연대강(9.2%) 등 공산품 물가가 0.6% 상승했고 어획량 감소 등으로 오징어(13.7%) 등 농림수산품도 0.3% 상승했다. 공산품은 섬유·의복 및 가죽제품(-0.6%), 영상음향 및 통신장비제품(-1.9%) 등이 미국 등 주요 수출시장에서의 수요부진과 가격경쟁 심화로 내렸으나 석유화학 및 고무제품(4.3%), 금속1차제품(3.1%), 종이·종이제품(0.6%) 등이 올라 0.6% 상승했다. 석유화학 및 고무제품은 국제원유 가격 상승 및 미국의 석유 재고감소로 나프타, 경유, 벙커C유, Jet유 등 석유제품이 큰 폭의 오름세를 보이고 에틸렌, 부타디엔, PTA 등 석유화학 기초제품도 나프타 등 원재료가격 상승과 한국, 일본 등 주요 수출국의 정기보수 실시 영향 등으로 올라 4.3% 상승했다. 표, 그래프: | 수입가격 등락현황(2002.04) | 수출물가 등락현황(2002.04) | <Chemical Daily News 2002/05/13>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무기화학/CA] 공업염, 수입가격 상승 불가피 | 2024-10-18 | ||
[합성고무] 합성고무, 일본산 수입가격 상승 | 2024-08-27 | ||
[석유화학] 메탄올, 한국 수입가격 “급반등” | 2023-08-04 | ||
[석유화학] 메탄올, 중국 수입가격 급등… | 2023-07-07 | ||
[폴리머] PVC, 인디아 수입가격만 치솟았다! | 2022-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