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TDI 반덤핑 조사 개시
|
중국 정부가 5월22일 한국, 일본 및 미국 3개국가로부터 수입되는 TDI(Toluene Diisocyanate)에 대한 반덤핑조사 개시를 결정했다. 중국의 TDI 생산기업인 하북창주대화TDI유한공사 등이 4월17일 반덤핑 제소한데 따른 것이다. 국내 피제소기업은 한국화인케미칼, 동양제철화학, 한국BASF이며, 제소기업이 신청한 덤핑마진율은 5.34%이다.일본은 덤핑 마진율이 49.08%, 미국은 17.93%이다. 중국의 TDI 반덤핑 조사는 덤핑마진율로 볼 때 주로 일본과 미국산 TDI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중국은 홍콩에 이어 제2의 TDI 수출 대상국으로 2001년 기준 중국수출은 2만3184톤, 3520만달러로 전체 TDI 수출물량의 28%, 수출액의 26%를 차지했다. TDI 수출 1위는 홍콩, 3위는 인도네시아, 4위는 나이지리아, 5위는 필리핀이다. 정부는 최근 중국의 반덤핑 조치 증가에 따라 한-중 양국 교역관계가 위축될 우려가 있어 TDI에 대한 중국의 반덤핑조사가 WTO 규범에 따라 공정하고 투명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정부간 협의를 진행해나갈 방침이다. 정부는 5월10일 황두연 통상교섭본부장과 중국 대외무역경제합작부 석광생 부장과의 면담시 중국의 반덤핑 조치 발동자제를 요청한 바 있으며, 앞으로 호혜적이며 안정적인 교역관계의 유지·발전을 위해 양자 협의 등을 통해 상호 수용 가능한 해결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할 예정이다. 표, 그래프: | TDI 수출실적 비교 | <Chemical Daily News 2002/05/28>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벤젠, 중국 부진에 국제유가마저 약세로… | 2025-11-05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배터리] 전해질, 탈중국 움직임 본격화… 일본, 중국 공백을 노린다! | 2025-11-07 | ||
| [EP/컴파운딩] PA, 중국 신증설로 압박 강화 고기능화해야 살아남는다! | 2025-11-07 | ||
| [EP/컴파운딩] POM, 중국 반덤핑 효과도 “별로” 코오롱ENP 기대 무너졌다! | 2025-11-07 | ||
| [화학경영] 도레이, 중국 섬유‧EP 사업 확대… | 2025-11-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