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호르몬, 전국적으로 32종 검출
전국의 대기와 수질, 토양 등에서 모두 32종의 내분비계 장애물질(환경호르몬)이 검출됐다. 국립환경연구원이 2001년 3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전국의 대기 26곳과 수질 43곳, 토양 35곳, 하상 퇴적물 11곳 등 115개 지점에서 환경호르몬으로 추정되는 다이옥신 등 94개 물질(40개 물질군)의 환경잔류실태를 조사한 결과, 모두 32개 물질(24개 물질군)이 1개 이상의 환경매체에서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의 Hexachlorobenzene 등 4개 물질의 농도는 증가했고 DBP(Phthalate류) 등 4개는 줄었으며, 수질에서는 Bisphenol-A 등 4개의 농도는 늘어난 반면 DBP 등 5개는 감소했다. 또 토양에서 알라클로르 등 2개 물질의 농도가 증가한 반면 벤조피렌 등 6개는 줄었고, 퇴적물에서는 다이옥신 등 2개의 농도가 늘었지만 노닐페놀 등 5개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호르몬인 동시에 발암성 물질이어서 국민적 관심이 가장 높은 다이옥신은 대기 중 전국평균 농도가 0.287pg-TEQ/N㎥으로 일년전의 0.324pg보다 낮았고 수질과 토양의 농도도 각각 0.073pg와 1.703pg로 일년전의 0.094pg 및 1.734pg에 비해 감소했다. 그러나 하상 퇴적물의 다이옥신 농도는 0.086pg로 일년전의 0.048pg보다 늘었다. 대기 중 다이옥신 농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 공업지역인 경기도 안산시 원시동으로 1.664pg를 기록했고 다음은 안산시 고잔동(0.861), 시흥시 정왕동(0.837), 도로변인 인천 석바위(0.798) 등의 순이다. 안산시 고잔동 농도를 바탕으로 하루 최대 가능 섭취량을 추정해 보면 2.58pg-TEQ/㎏/d로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정하고 있는 하루 허용 섭취량(4pg)의 71% 수준이다. 수질 중 다이옥신 농도가 가장 높은 곳은 용인하수종말처리장(평균농도 0.946pg)으로 일년전의 0.062pg보다 15배 가량 늘었다. 지역 난개발로 처리장에 유입되는 오염물질이 늘었기 때문이다. 이밖에 토양 중에서는 충남 서천군 마서면이 43.333pg로 최고 농도를 보였다. 표, 그래프: | 다이옥신 평균농도 비교 | <Chemical Daily News 2002/09/0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아로마틱] BPA, 환경호르몬 오명 벗을까? | 2018-06-21 | ||
[산업정책] 중국, 환경호르몬 실태조사 본격화 | 2015-10-30 | ||
[환경] 유아용품, 환경호르몬 검출 조사 | 2015-03-31 | ||
[기술/특허] 페놀계 환경호르몬 휴대검출기 개발 | 2011-09-22 | ||
[건축소재] 건축자재 환경호르몬 관리대상 확대 | 2007-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