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연평균 5-6% 성장
한국경제는 2008년 이후 5년간 고성장·저물가 시대가 도래하고 2013년 이후에는 장기 저성장 기조로 접어들 전망이다. LG경제연구원이 경제활동인구 구조를 기초로 실질GDP(국내총생산) 성장률을 예측한 결과,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 후반에서 6% 초반의 고성장을 유지하고 물가상승률은 3% 안팎에서 안정될 것으로 전망됐다. 성장을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연령층을 구분해 성장률을 추정했는데, 인구구조상 한국경제가 3단계 구조적인 변화를 겪을 것으로 전망됐다. 2007년까지 1단계는 성장을 촉진하는 장년층이 증가해 현재와 비슷한 5% 초반의 성장률을 보이면서 물가는 4%대에 머무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2012년까지 2단계는 성장률이 6%대로 높아지고 물가는 3% 안팎으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베이비붐 세대가 성장기여도가 가장 높은 후기 장년층으로 대거 진입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년층이 급격히 늘어나는 2013년 이후 3단계에는 성장률이 차츰 떨어져 2020년에는 3% 수준으로 낮아질 것으로 분석됐다. LG경제연구원은 추세적으로 노령인구가 늘어나겠지만 향후 10년간은 현재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나아질 것이란 분석결과가 나왔으며, 2008년 이후 5년간을 장기 저성장시대에 대비하는 기간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Chemical Daily News 2002/09/0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화학] 수처리제, 연평균 6%대 성장 | 2014-06-17 | ||
[환경화학] RO막, 중국시장 연평균 25% 성장 | 2013-06-20 | ||
[산업정책] 한국경제, 셰일가스 개발로 수혜? | 2012-09-2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제약] 신약 개발, 연평균 10% 성장 기대 신약 후보물질 개발 “치열” | 2025-09-12 | ||
[EP/컴파운딩] PA9T, 연평균 10% 이상 성장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