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경유 환경품질 가장 엉망!
휘발유는 인천정유, 경유는 S-Oil이 환경에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대기오염의 주범인 황 함량은 SK정유가 생산하는 경유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경부가 국내 5개 정유회사와 9개 석유 수입기업을 대상으로 2002년 4/4분기 자동차연료 환경품질을 조사한데 따르면, 2002년 3/4분기보다 경유 황 함량은 증가하고 휘발유는 비슷한 수치를 보여 국내 정유회사의 환경품질이 다소 저하된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부는 2002년 10월 3/4분기 자동차연료 중 황과 벤젠함량을 공개한 데 이어, 4/4분기 중 휘발유의 황과 벤젠, 경유의 황 함량 분석결과를 공개했다. 국립환경연구원 자동차공해연구소가 월 2회 제품 저장탱크에서 시료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휘발유 중 벤젠 함량은 국내 정유회사가 0.2-0.7%(평균 0.4%)로 2002년 3/4분기 평균 0.4%와 비슷한 수준이었고, 수입기업은 0.6-1.4%(평균 1.1%)로 3/4분기 평균 0.9%보다 증가했다. 휘발유 중 황 함량은 국내 정유회사가 13-34ppm(평균 23ppm)으로 3/4분기 평균 25ppm보다 약 8% 낮아졌고, 수입기업도 26-127ppm(평균 83ppm)으로 3/4분기 평균 91ppm보다 약 9% 낮아졌다. 또 경유 중 황 함량은 수입기업은 106-321ppm(평균 202ppm)으로 3/4분기 268ppm보다 약 25% 낮아진 반면, 국내 정유회사는 96-240ppm(평균 155ppm)으로 3/4분기 평균 128ppm보다 약 21% 높아졌다. 그러나 경유 황 함량이 높아진 것은 동절기 난방용 실내등유(황 100ppm) 공급증가로 인해 경유 생산용 저황유 물량이 감소함에 따른 일시적인 영향으로 분석됐다. 국내 정유회사 가운데 휘발유는 인천정유, 경유는 S-Oil이 환경에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백혈병·임파암·혈액암 등의 발생율을 증가시키는 발암물질로 알려진 벤젠은 S-Oil의 휘발유가 0.7V%로 가장 높았으며, 황 함량은 인천정유와 S-Oil이 낮고 LG-Caltex정유가 34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S-Oil과 현대Oil-Bank, 인천정유의 경유 황 함량은 평균보다 낮은 반면, SK가 생산한 경유의 황함량은 S-Oil의 2.5배나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수입기업들의 환경품질은 국내 정유회사보다 훨씬 나빠 휘발유의 벤젠 함유율은 국내 정유회사의 평균 0.4V%보다 높은 1.1V%, 휘발유의 황 함유는 무려 3.6배나 높은 83ppm을 기록했다. 경유는 페타코와 고앤텍이 국내 정유사들의 평균치보다 낮았고, 삼연에너지와 페트로코리아의 경유 황 함량은 각각 391ppm, 239ppm로 높은 수준에 이르렀다. 한편, 환경부는 연료품질 공개제 도입 이전과 비교해 휘발유와 경유의 황함량이 저감됨에 따라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 미세먼지(PM) 등의 오염물질은 1%-4.4%,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벤젠의 배출량은 45% 각각 감소한 것으로 추정돼 대기오염 저감효과 거둔 것으로 분석했다. 표, 그래프: | 국내 정유회사의 연료품질 변화추이 | 석유 수입기업의 연료품질 변화추이 | 국내 정유회사 환경품질 분석결과(2002.10-12) | 석유 수입기업 환경품질 분석결과(2002.10-12) | <Chemical Daily News 2003/01/2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합성섬유] SK케미칼, 자원순환 패러다임 공유 | 2025-10-02 | ||
[플래스틱] SK케미칼, 유럽 재활용 시장 공략 | 2025-10-02 | ||
[화학경영] SK이노베이션, LNG 자회사 유동화 | 2025-09-26 | ||
[안전/사고] SK트리켐, 세종공장 질소 누출 | 2025-09-25 | ||
[디지털화] SK, AI‧디지털전환 혁신 “가속화” | 2025-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