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프타 쫓아 자일렌 22.9% 상승!
|
한국은행, 원재료 물가상승률 10개월만에 최고 … 벤젠 21.7% 올라 인플레이션의 선행지표인 원재료 및 중간재 물가 상승률이 국제유가 급등의 영향으로 10개월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한국은행이 발표한 <2월 가공단계별 물가동향>에 따르면, 원재료 및 중간재 물가는 2003년 1월 대비 2.4% 상승해 소비자 물가에 압력을 가했다. 2002년 4월 2.5%를 기록한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원유(10.2%)와 액화천연가스(4.6%), 고철(9.9%) 등의 가격이 크게 올라 원재료 물가는 1월보다 5.5% 치솟았으며, 역시 2002년 4월(9.2%) 이후 가장 높았다. 중간재는 석유제품이 3.7%, 화학제품이 4.7% 오른 영향으로 전체적으로는 1.9% 상승해 1999년 10월(2.5%)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원유, 천연고무, 우피 등 수입원재료 가격이 크게 뛰면서 대부분의 업종에서 오름세를 나타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석유제품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나프타 13.1%, 경유 1.7%, 벙커C유 3.7% 등을 중심으로 전월에 이어 3.7% 오름세를 보였다. 화학제품은 원재료인 나프타 가격상승과 공급물량 감소 탓으로 에틸렌이 11.1%, 벤젠 21.7%, 자일렌 22.9%, 테레프탈산 10.9% 등으로 각각 올라 석유화학 기초제품 전체로는 4.7% 상승했다. 섬유제품 및 의복은 원재료 가격상승 등으로 Polyester 실, 화학섬유 직물 등 섬유제품을 중심으로 1.4%, 종이제품 및 출판물은 아트지 등은 내린 반면, 골판지상자가 올라 0.9% 상승했다. 금속1차제품은 국제 원자재 가격상승으로 열연광폭대강 등 철강제품과 니켈 등 비철금속류가 올라 2.7% 상승했고, 조립금속제품은 구조용 금속판제품, 금속탱크 등이 철강 등 원자재 가격과 함께 1.1% 상승했다 서비스를 제외한 재화부문의 종합적인 인플레이션 측정지표인 최종재 물가는 전월대비 0.2% 올랐다. 최종재 중 자본재는 수입기계류와 전력케이블 등 전선류가 환율상승 및 원자재 가격 오름세로 0.4% 올랐고, 소비재도 내구소비재는 보합세를 보였으나 소주, 맥주, 석유류 가격이 뛴 영향으로 0.2% 상승했다. <조인경 기자> 표, 그래프: | 중간재 가격 등락률(2003.2) | <Chemical Journal 2003/03/25>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나프타, 미‧중 갈등에 국제유가 하락 속 “약세” | 2025-10-15 | ||
| [석유화학] 나프타, 국제유가 뛰자 강세 전환! | 2025-10-01 | ||
| [석유화학] 나프타, 유가‧올레핀 강세에 상승! | 2025-09-17 | ||
| [석유화학] 나프타, 에틸렌 강세따라 올랐다! | 2025-09-03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나프타, 공급과잉으로 수요 감소 바이오화 전환 서둘러라! | 2025-10-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