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제품 노출 산업재해 18건 발생
|
노동부, 2월 화학제품 제조업 산재 539명 … 전체 산재율 0.04%p 증가 2003년 2월 말까지 산업재해율은 전년동기대비 0.04%p 증가하고 사망자 수는 24.9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노동부가 2002년 2월 말까지의 산업재해 현황을 조사한 결과, 산업재해자 수는 1만5299명으로 전년동기대비 4087명(36.45%) 증가했으며, 사망자 수는 476명으로 95명 증가했다. 전체 근로자 수에 대한 재해자 수의 비율인 재해율은 0.15%로 전년동기대비 0.04%p 증가했으며 사망만인율(사망자수/근로자수×1만)은 0.48로 0.11p 증가했다. 또 업무상사고 사망자 수는 241명, 업무상사고 사망만인율은 0.24로 각각 전년동기대비 59명(32.42%), 0.06p(33.33%) 증가했으며, 업무상질병 사망자 수는 235명으로 36명(18.09%) 늘었다. 업무상 질병자 수는 1182명으로 집계됐으며, 질병 중 난청·중금속 중독 등 직업병자는 250명으로 245명(26.15%) 증가한 데 이어, 뇌·심혈관질환자는 447명, 신체부담작업 및 요통 등 근골격계 질환자는 421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또 유기용제로 인한 직업병자가 11명으로 1달 전보다 1명 늘었으며, 특정화학물질로 인한 요양자도 7명으로 역시 1명이 늘었다. 제조업의 재해자는 모두 6431명이었으며, 화학제품 제조업에서의 재해자 수는 539명, 사망자 수는 8명으로 재해율과 사망만인율이 각각 0.22%와 0.32를 기록했다. 의약품 및 화장품 향료 제조업에서도 재해자 25명, 사망자 1명으로 파악됐다. 한편, 전체 재해의 69.4%가 종업원 50명 미만 사업장에서 발생했으며, 특히 5명 미만 사업장에서 전체 재해의 21.1%가 발생한 가운데 제조업 재해 역시 68%가 종업원 50명 미만 사업장에서 나타났다. <조인경 기자> 표, 그래프: | 산업재해 현황(2003.2) | <Chemical Journal 2003/04/25>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환경] 화학물질, 복합노출 개념으로 규제 | 2025-09-05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플래스틱] 플래스틱 국제협약 ②, 플래스틱에 화학제품 포함 생산규제에 리사이클 “공방” | 2025-09-26 | ||
| [화학무역] 일본, 화학제품 수출 확대 성공했다! | 2025-07-11 | ||
| [에너지정책] 중국의 화학산업 혁신 ①, 그린 화학제품 생산 본격화 세계 최초 바이오제조 “성공” | 2025-05-02 | ||
| [식품소재] 화학제품, 할랄 시장 “급부상” | 2025-04-0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