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제품 수출차질 점차 가시화!
|
화물연대 파업으로 물류대란 … LG화학ㆍKP케미칼 피해 발생 5월16일까지 화물연대 파업이 계속된다면 국내 수출의 75%를 담당하는 부산항을 통한 수출차질 금액이 5억5000만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수출피해가 본격화된 5월10일 부산항에서는 선적계획 물량 대비 5%, 11일은 10% 가량 수출차질이 빚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수출피해는 1027TEU(20피트 컨테이너), 2500만달러이며, 10일부터 장거리 수송 수출물품의 반입이 사실상 중단됨에 따라 수출화물 선적량이 급감할 것으로 예상됐다. 무역협회는 파업이 지속된다면 누적 수출피해는 12일 9180만달러, 13일 1억7525만달러, 14일 2억7540만달러, 15일 4억893만달러로 늘어나고 16일에는 5억5915만달러에 달할 것으로 내다보았다. 이와 별도로 광양항을 통한 수출피해는 12일부터 1일 평균 850TEU, 금액으로는 1490만달러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 피해도 잇따라 12일 현재 LG전자는 1000TEU를 선적하지 못해 4000만달러의 피해를 입었으며, 빈 컨테이너 공급을 받지 못해 앞으로 작업에 어려움을 예상하고 있다. 대우일렉트로닉스는 200TEU 상당의 수출화물 선적이 지연되고 있으며, 주수출 예정인 600TEU의 선적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수입 원자재 조달 차질로 용인 에어컨 공장 가동이 50% 중단됐다. 섬유업계도 사정은 마찬가지여서 하루 200만달러의 피해를 보고 있는 동국무역은 재고누적으로 공장가동을 최소화했으며, 14일 이후에는 원자재 부족으로 공장 가동을 중단할 위기에 놓여 있다. LG화학은 현재까지 300만달러의 피해가 발생했으며, 17일까지 파업 사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피해금액은 750만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KP케미칼도 17일까지 200만달러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금호타이어는 10일부터 컨테이너 작업이 중단돼 400만달러의 피해를 입었고, 한국타이어도 수출 컨테이너 150TEU가 공장에 묶여 있다. <Chemical Journal 2003/05/14>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플래스틱] 플래스틱 국제협약 ②, 플래스틱에 화학제품 포함 생산규제에 리사이클 “공방” | 2025-09-26 | ||
| [화학무역] 일본, 화학제품 수출 확대 성공했다! | 2025-07-11 | ||
| [에너지정책] 중국의 화학산업 혁신 ①, 그린 화학제품 생산 본격화 세계 최초 바이오제조 “성공” | 2025-05-02 | ||
| [식품소재] 화학제품, 할랄 시장 “급부상” | 2025-04-04 | ||
| [화학경영] 일본계 화학기업 ②, 첨단소재는 일본에서 공급…화학제품 유통 네트워크 강화 | 2025-03-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