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제품도 환경 생각해야 생존!
|
상의, 유해화학물질 사용량 줄여야 … 포장재도 재활용 가능하게 최근 환경이 기술적 무역장벽의 하나가 되고 있는 가운데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환경친화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에코디자인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성)는 최근 발간한 <선진기업의 에코디자인 동향 및 사례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환경관련 무역규제가 제품설계 초기 단계부터 생산, 유통, 폐기 등 전 과정으로 확대됨에 따라 환경친화 제품설계 기법인 에코디자인의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에코디자인(Eco-Design)이란 원료나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는 제품 또는 재활용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친환경적으로 제품을 설계하는 것을 일컫는다. 즉, 제품의 가격, 성능 및 품질기준을 만족시키면서 제품의 전 과정에 걸친 환경부하를 저감시키는 제품을 설계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제품이나 고효율 가전제품 ▷납 대신 주석, 은 합금을 사용하거나 ▷유독가스를 배출하는 할로겐 화합물을 저감시킨 제품 ▷유해물질을 적게 포함하거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만든 포장재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상공회의소는 EU, 일본, 미국의 선진기업은 이미 1960년대부터 에코디자인 개념을 도입해 현재 활발하게 적용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일부 기업을 제외하고는 관련 정보 및 관심이 부족해 환경관련 국제 흐름과 에코디자인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낮은 상태라고 지적했다. 에코디자인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경영자의 의지와 추진체계가 필요한데 현재 NEC, 필립스, 캐논, 마쓰시다 등 많은 선진기업들은 최고 경영자의 확고한 의지 아래 전사적 에코디자인 관련 조직을 가동하고 있다. 이밖에도 에코디자인 활성화 방안으로 ▷에코디자인 된 자사 제품의 홍보와 마케팅 ▷공급자 관리를 통한 그린 구매시스템(Green Procurement System) 도입 ▷정부 차원의 환경친화적인 제품에 대한 인센티브 ▷환경마크제도나 환경성적표지 제도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홍보 대책 ▷공공기관의 녹색구매 확대 등을 들었다. 상공회의소는 앞으로는 환경친화적이지 못한 제품이나 관련기업은 살아남기 어려운 시대가 되고, 제품의 환경측면을 제품개발에 접목시키는 친환경제품 설계를 조속히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인경 기자> 표, 그래프: | 에코디자인 사례 | <Chemical Journal 2003/06/02>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페인트/잉크] 강남제비스코, 친환경 페인트 전환 박차 | 2025-10-31 | ||
| [페인트/잉크] 조광페인트, 친환경 기술 혁신 장관 표창 | 2025-10-30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올레핀] 전자소재의 친환경화, 태양광‧배터리‧반도체 친환경 전환이 경쟁력 좌우 | 2025-11-07 | ||
| [반도체소재] 듀폰, 친환경 반도체용 감광재 라인업 강화 | 2025-11-07 | ||
| [플래스틱] 라벨, PET 라이너 전환으로 친환경화 | 2025-1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