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PE, 과연 90만원까지 오를까?
8월 톤당 78만-80만원대 거래 … 나프타 가격상승 따라 동반상승 2003년 7월 톤당 78만원에 거래됐던 Film 그레이드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가격이 8월 초 고시됐던 톤당 5만원에 못 미치는 2만-3만원 인상에 그쳤다.HDPE는 나프타 가격이 톤당 200달러일 때 70만원이 적정한 가격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나프타 가격은 8월22일까지 C&F Japan 톤당 평균 290달러에 거래됐다. 그러나 8월 HDPE 가격은 생산기업들이 적정가격으로 인식하고 있는 100만원에 20만원 정도 모자라는 78만-80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HDPE 생산기업들은 HDPE가 고정비 등 기타 감가상각비를 고려해 100만원에 거래돼야 하나 수요기업들의 내수경기 침체에 따른 어려움으로 가격인상 시도가 실패한 것으로 전했다. 한 생산기업은 HDPE의 내수가격이 보통 수출가격보다 높게 형성되지만 7-8월 내수가격보다 수출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있다고 전했으며, 또 다른 생산기업은 현재 수출시장과 내수시장의 가격차가 좁아진 것은 사실이나 내수가격이 현재까지는 높게 거래되고 있다고 전했다. HDPE는 7월 76만-78만원, 8월 78만-80만원에 거래됐으며, 원재료인 나프타 상승의 영향으로 마진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생산기업들은 최근 HDPE의 원재료인 Ethylene의 국제가격 상승 및 9월까지 이어지는 성수기에 발맞추어 8월부터 가격인상 시도를 하고 있지만, 8월에는 7월말 고시됐던 5만원에 못 미치는 2만-3만원 인상에 불과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 생산기업 관계자는 “8월 가격인상은 생산기업들이 9월 10만원의 가격인상을 계획함에 따라 몇몇 수요기업들의 구매물량이 늘어나 소폭 인상이 가능했다”고 말했으나 다른 관계자는 “8월 가격인상이 불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가격협상 시점이 월말에서 월초까지 이어지는 현 시스템에서 정확한 가격인상폭에 대해 언급할 수는 없으나, HDPE 생산기업들이 9월에는 7-8월에 반영치 못한 가격 인상폭을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 HDPE 수요기업들의 공장가동률은 평균 60-70%로 국내경기 침체에 따른 경영난을 겪고 있어 9월 가격인상폭을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김동민 조사연구원> 표, 그래프: | HDPE 가격추이 | <Chemical Journal 2003/09/03>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HDPE, 루피화 약세·재고 부담에… | 2025-09-29 | ||
[석유화학] HDPE, 약세 속 대규모 정기보수… | 2025-09-22 | ||
[석유화학] HDPE, 동북아 약세 속 보합세… | 2025-09-15 | ||
[폴리머] 한국선급, 함정에 HDPE 적용 성공 | 2025-08-13 | ||
[석유화학] HDPE, 관세유예 종료 앞 관망세… | 2025-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