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기업, 공장용지ㆍ사택 매각바람!
|
SKㆍ삼성ㆍ효성, 줄줄이 부지매각 … 중국이전 등 산업공동화 우려 최근 국내기업들이 공장부지, 사원주택 등 부동산을 경쟁적으로 매각하고 있다.화학기업들의 부지매각도 이어져 중국으로의 공장이전과 함께 자칫 국내 화학산업의 기반이 사라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개인들의 아파트 등 부동산 투기 열풍이 서울에서 지방으로 확산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국내기업들은 개인 매수세에 편승해 그동안 팔리지 않았던 지방의 사업용 부동산을 팔아치우고 있다. 국내기업들이 경기침체 장기화와 공장의 중국이전 등으로 사업용 부동산이 남아돌거나 추가 확보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고 부동산 처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SK는 경기침체 장기화에 대응하기 위해 용연공단 10만여평의 신증설 부지를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당초 사업비 8500억원을 들여 대규모의 중질유 분해 및 탈황시설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었다. 인근에 5만여평의 부지를 확보해 놓은 SK케미칼도 매입 희망자가 나서면 매각하기로 했다. 삼성석유화학은 지상 5층 부지면적 2500평 규모의 사택과 기숙사 부지 980여평을 지역 건설기업에 매각했고, 삼성정밀화학과 대한유화 등도 사택매각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효성 울산공장은 최근 사택부지 9000여평을 롯데건설에 아파트 건설부지로 팔았고, KG케미칼은 온산공장 사원용 아파트인 주공아파트 18가구(242평)를 민간 건설기업에 매각했다. 화학기업인 한주도 남구 옥동 191-1번지 일대 사택용 아파트 190가구와 부지 6400여평을 매각하기로 했고, 동서석유화학도 현재 재건축이 진행중인 사원 아파트 20가구를 매물로 내놓았다. 대우인터내셔널도 옛 대우그룹의 모태인 부산공장과 양산공장 부지를 잇달아 매각했다. 최근 부동산 시행사인 체이스개발에 부산 해운대구 반여동 공장 2만9000평과 양산시 유산동 공장 1만6000평 부지를 1388억원에 매각키로 계약을 맺었으며, 체이스개발은 대규모 아파트를 지을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소기업들도 아파트 건설 붐을 타고 공장과 부지를 다투어 팔고 있다. 인천시 남구 용현동 소재 D섬유기업은 공장 주변 지역이 아파트 단지로 변화하자 5000여평의 공장 전체를 아파트 용지로 매각했다. 인근의 학익동 일대 공장들도 부동산 열기에 편승해 30여만평의 공장 땅을 아파트 용지로 팔아치우고 있다. 부산대 무역학부 김창수 교수는 “기업들이 투자전망을 비관적으로 보고 사업용 부동산을 팔아치우는 것은 산업 성장기반이 붕괴되고 있다는 의미”라고 경고했다. <Chemical Journal 2003/10/08>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화학기업, 바이오 CDMO 체질 개선 | 2025-11-10 | ||
| [산업정책] 서산, 중소‧중견 석유화학기업 대출 지원 | 2025-10-27 | ||
| [화학경영] 화학기업, 라이프사이언스 강화 | 2025-10-17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기술/특허] 화학기업, 기술 라이선스로 수익 창출한다! | 2025-11-14 | ||
| [제약] 핵산 의약품, 2030년 18조원으로 성장 일본 화학기업 참여 본격화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