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가격 추가상승 기대된다?
SERI, 중국수요 힘입어 회복 전망 … LDPE-HDPE-PP 최고점 도달 석유화학산업이 연말 성수기를 앞두고도 추가적인 공급증가가 없을 것으로 보여 수급불균형에 따라 가격이 추가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그러나 나프타를 비롯해 LDPE, HDPE, PP, PVC 등 석유화학제품 가격이 이미 오를 만큼 오른 상태여서 추가적인 가격상승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삼성경제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석유화학제품은 생산부진과 가격 상승폭 둔화 등 단기간의 조정국면을 거친 이후 수요 증가세를 타고 있으며, 큰 폭의 가격상승과 더불어 중국수출이 꾸준한 증가를 지속하고 있다. 국내 석유화학 시장은 2003년 9월 이래 단기적인 조정과정을 거쳤는데 건설, 자동차, 가전 등 주요 후방산업이 내수침체로 부진을 겪으면서 원료인 석유화학제품의 생산 또한 회복세가 지연된 것이다. 내수침체를 만회하기 위해 10월 이후 수출에 주력했으나 중동지역의 정세불안으로 석유 및 나프타 가격이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는 반면, 석유화학제품 가격은 기초원료의 가격 상승분만큼 오르지 못하고 있어 생산기업들은 3/4분기 이후 실적이 전반적으로 둔화됐다. 특히, 원가상승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부진해 가격인하 압력이 큰 최종재일수록 실적둔화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러나 11월에 들어 호남석유화학의 No.3 HDPE 플랜트 폭발사고로 일시적인 공급부족을 겪었던 PE 가격이 9월보다 13.7% 상승했고 PVC 역시 중국기업들이 가동률을 줄임에 따라 높은 상승세를 보였으며, 12월에도 PE 및 PP 가격이 톤당 700-800달러 수준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어 추가 상승은 어려울 전망이다. 한편, 중국의 합성수지 및 합섬원료 수입량은 2003년 상반기 감소세를 보였으나 하반기 이후 증가세를 기록해 1-10월 전년동기대비 각각 1.9%와 0.4% 증가했다 PVC 수입량이 급증한 가운데 그동안 부진했던 ABS와 PE 수입도 최근 크게 증가했으며, EG는 10월 중국 합성섬유 생산기업들의 가동률 상승으로 전년동기대비 48% 이상 급증했다. <조인경 기자> 표, 그래프: | 석유화학제품 가격동향 | 중국의 석유화학제품 수입추이 | <Chemical Journal 2003/12/0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금융권도 재편 압박 | 2025-09-30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경영권 분쟁 재점화 | 2025-09-30 | ||
[화학경영] 태광산업, 석유화학 재편 속도낸다! | 2025-09-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원료 불확실성 확대된다! | 2025-10-02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재편 ② - 일본, 통폐합에 차별화 강화 스페셜티도 안심 못한다!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