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PET필름 수입은 이제 그만!
|
수요강세 힘입어 생산능력 확대 봇물 … 2005년 총 46만톤 생산 2001년 세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생산능력은 약 131만톤, 소비량은 110만-120만톤에 달했으며 소비량은 향후 2년 동안 연평균 4%, 2005년 이후에는 6% 증가할 전망이다.현재 아시아는 세계 최대 PET 소비지역으로 일본 및 한국, 타이완이 전체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은 1990년대 중반 포장산업 호황에 힘입어 생산능력 1만톤 이상의 대규모 PET 생산라인을 해외에서 도입해 현재 메이저 생산기업으로 Foshan Du Pont Hongji Film 및 Shandong Xinlike Plastics & Rubber, Jiangsu Yizheng Chemical Fiber, Shanghai Zidong Chemical Plastics, Shanghai Chemical Factory가 있다. 중국의 PET필름 생산능력은 총 16만톤으로 추정되며 생산라인의 약 80%는 독일 및 프랑스, 일본에서 수입한 것이다. 생산능력 총 12만톤에 이르는 대부분의 플랜트는 경제가 발달한 해안지역에 위치해 있다. 중국은 2002년 약 15만톤의 PET필름을 생산했으며 수입 및 수출량은 각각 3만톤을 기록해 실 소비량은 18만톤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PET필름 수요신장률은 15%로 연포장재용 소비비중이 전체의 61%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전체(Dielectric Material)용으로 15%, 전자용으로 2% 사용되고 있다. 오디오 및 비디오테이프 분야의 소비비중은 5%, 건설 및 데코레이션 분야 5%, Reprographic 및 인쇄용 5% 이하, 기타 4%로 나타났다. 중국은 PET필름 소비 강세에 따라 대부분의 생산라인을 풀가동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플랜트 신설 및 확장 붐이 일어나고 있다. 2003-04년에는 약 13만톤이 추가되고 2005년에는 중국의 PET 필름 생산능력이 총 46만톤에 달할 전망이다. 따라서 중국 PET필름 시장은 앞으로 수요 신장세와 함께 생산능력도 대규모 확대되고 고품질의 다용도 필름이 개발될 전망이다. 그러나 당분간은 포장재가 PET 필름 수요 강세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PET필름는 투명한 무색의 폴리머 필름으로 전도성이 뛰어나고 다차원적이며 베리어(Barrier)가 우수하다. 또한 절연체(Electric Insulation) 소재 및 마그네틱 매체, 감광필름, 인쇄 및 Reprography 필름, 포장재 등으로 사용된다. <Chemical Journal 2004/01/30>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플래스틱] PET필름, 중국산 반덤핑관세 장벽 높인다! | 2025-11-21 | ||
| [화학경영] 바스프, 중국 중심 수익성 개선한다! | 2025-11-21 | ||
| [배터리] SK온, 중국 옌청 배터리 공장에 집중 | 2025-11-21 | ||
| [디지털화] 클라리언트, 중국에 AI 솔루션 공급 | 2025-11-20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플래스틱] 플래스틱 무역, 중국 수출 공세 강화에 미국산 수입은 외면했다! | 2025-11-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