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T필름
제품의 고급화에 따라 포장소재도 변화하고 있는데, 제품의 품질을 최우선으로 유지하기 위해 유지식품이나 향미식품 등에 가스 차단성이 매우 우수한 PVDC코팅제품이나 EVOH 공압출 연포장재가 기존의 단순 포장재를 대체하고 있으며, 알루미늄증착 PET필름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생산현황 PET필름은 포장용 소재로보다는 오디오 및 비디오테이프용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근래들어 품질개선 및 가격하락으로 포장재분야의 적용범위가 넓어져 수요량이 증가하고 있다. 94년 국내 PET필름 생산은 11만9500톤에 달했는데, SKC가 5만6000톤을 생산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PET필름 공급능력은 아시아지역을 중심으로 산업등의 신증설이 활발할 것으로 보여 96년이후 공급과잉으로 전환될 전망이다. 표, 그래프 : | 국내 PET필름 생산능력 현황 | 세계 PET필름 수요전망(용도별) | 세계 PET필름 수급밸런스 | <’96 화학연감>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신재생에너지] PET필름, 태양전지 시장 개척 | 2025-04-18 | ||
[플래스틱] PET필름, 중국 덤핑공세 차단한다! | 2025-04-15 | ||
[플래스틱] 효성화학, TAC‧PET필름 매각한다! | 2025-03-27 | ||
[플래스틱] PET필름, 사모펀드가 장악한다! | 2024-08-09 | ||
[플래스틱] PET필름, 도요보가 시장 장악한다! | 2024-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