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원유 자체생산 10만배럴 목표
브라질서 5000만배럴 추정매장량 발견 … 남미ㆍ동남아 유전개발 확대 SK가 국내 최초로 브라질에서 유전 개발에 성공했다.SK는 유전개발을 진행해오던 브라질 BM-C-8 광구에서 5000만배럴 이상의 원유 추정매장량을 확인해 본격적인 개발에 나설 계획이라고 7월1일 발표했다. SK는 브라질 광구의 지분 40%를 보유하고 있어 추정 매장량 중 약 2000만배럴에 대한 권한을 가지게 된다. 브라질 BM-C-8 광구는 리우데자네이루 동쪽 250km 해상에 위치한 광구로 2000년 9월 미국의 석유개발 전문기업인 Devon Energy(지분 60%)와 함께 채광권을 취득해 탐사 및 개발을 진행해 왔다. 양사는 3개의 탐사정과 2개의 평가정 시추를 통해 탐사 및 평가작업을 진행한 결과 5000만배럴 이상의 원유 추정 매장량을 확인했다. SK는 광구의 상업성이 확인됨에 따라 2006년 초부터 하루 5만배럴의 원유를 처리할 수 있는 생산설비 건설에 착수해 2007년 하반기부터 상업생산에 돌입할 계획이다. 채광권 계약에 따라 SK와 데본에너지는 BM-C-8 광구에서 27년간 원유를 개발ㆍ생산할 수 있다. SK는 BM-C-8 광구 외에도 2004년 11월 노무현 대통령의 브라질 방문 시 채광권 계약을 체결한 BM-C-30 및 32 광구 개발 프로젝트에도 데본에너지 등과 함께 참여하고 있어 추가적인 브라질 유전개발 성공을 기대하고 있다. SK는 1983년 인도네시아 카리문 광구를 시작으로 20여년간 총 23개국 53개 석유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해 현재 11개국 19개 광구에서 원유, 천연가스를 탐사ㆍ개발 및 생산하고 있으며, 국내 전체 소비량의 140일분에 해당하는 3억배럴의 매장량을 확보해 하루 2만4000배럴의 원유를 생산하고 있다. SK는 페루와 브라질을 중심으로 하는 남미, 베트남을 축으로 한 동남아, 카자흐스탄 등 카스피해 연안국을 중심으로 한 중앙아시아 등 3대 지역을 석유개발 전략투자 지역으로 선정하고 꾸준히 투자를 진행해 2010년까지 보유매장량 7억배럴, 1일 생산량 10만배럴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화학저널 2005/07/0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합성섬유] SK케미칼, 자원순환 패러다임 공유 | 2025-10-02 | ||
[플래스틱] SK케미칼, 유럽 재활용 시장 공략 | 2025-10-02 | ||
[화학경영] SK이노베이션, LNG 자회사 유동화 | 2025-09-26 | ||
[안전/사고] SK트리켐, 세종공장 질소 누출 | 2025-09-25 | ||
[디지털화] SK, AI‧디지털전환 혁신 “가속화” | 2025-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