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제조업 수출 7.2% 차지
한국은행, 6대 산업이 수출 82% 달해 … 가격경쟁력 의존은 문제 전자와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철강, 일반기계 등 6대 수출산업이 국내 제조업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04년 82%로 높아졌고 제조업 생산비중은 53%에 달했다.또 휴대전화와 LCD 등 일부 전자산업과 조선업의 기술경쟁력은 높아지고 있으나 자동차와 석유화학, 철강 등은 가격경쟁력에 주로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컴퓨터와 가전 등 일부 품목에서는 중국의 경쟁력이 급속도로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7월15일 발표한 <우리나라 6대 수출 주력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추이>에 따르면, 수출액 상위 6대 산업은 1995년 이후 연평균 10.4%의 수출증가율을 나타내면서 제조업의 연평균 수출증가율 8.2%를 넘어섰다. 이에 따라 전체 제조업 수출에서 6대 산업의 수출비중은 1995년 68.3%에서 2004년 82.0%로 높아졌다. 전자산업의 수출비중은 1995년 37.0%에서 2004년 40.8%로, 자동차는 8.0%에서 13.7%로 급상승했으며 조선은 4.7%에서 6.5%로, 일반기계도 7.0%에서 8.2%로 올라갔다. 석유화학도 5.1%에서 7.2%로 높아졌으나, 철강은 6.4%에서 5.7%로 낮아졌다.
특히, 전자(447억달러)를 비롯해 자동차(283억달러), 조선(143억달러) 등 3대 산업이 무역흑자의 효자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6대 산업의 생산이 제조업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95년 45.8%에서 2003년 52.8%로 높아졌으며, 전자가 15.2%에서 19.4%로, 자동차는 9.6%에서 11.1%, 조선은 2.5%에서 3.3%로 상승했다. 생산 대비 수출비중은 조선업이 99.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전자(93.0%), 자동차(68.6%), 석유화학(49.2%), 일반기계(39.4%), 철강(27.6%) 순이었다. 6대 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1995년 3.4%에서 2003년 4.1%로 높아졌으나 일본(10.3%)과 중국(5.8%)에 비해서는 낮았다. 산업별로는 조선이 2003년 기준 세계시장 점유율 21.0%로 다른 업종에 비해 가장 높았고 석유화학은 5.8%, 전자 5.6%, 자동차 3.4% 등이었다. 전자산업 가운데서는 무선통신기기 12.0%, 반도체 5.8%를 나타냈다. 한국은행은 2000년 이후 무선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 등 일부 전자산업과 조선업 등에서는 기술비교우위업종이 늘어나는 등 기술경쟁력이 높아지는 모습이지만 자동차와 석유화학, 철강 등 대부분은 기술경쟁력보다는 생산비 비교우위를 나타내 여전히 가격경쟁력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표, 그래프: | 6대 수출 주력산업의 수출동향 | <화학저널 2005/07/18>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금융권도 재편 압박 | 2025-09-30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경영권 분쟁 재점화 | 2025-09-30 | ||
[화학경영] 태광산업, 석유화학 재편 속도낸다! | 2025-09-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원료 불확실성 확대된다! | 2025-10-02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재편 ② - 일본, 통폐합에 차별화 강화 스페셜티도 안심 못한다!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