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어케어, 맞춤ㆍ남성 트렌드 확산
|
1999년 이후 매출액 꾸준히 감소 … 원료성분 혁신ㆍ개발로 재도약 기대 2004년 매출침체로 고전한 헤어케어(Hair Care) 산업은 제품 및 원료성분 혁신(Innovation)을 통해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MerketResearch.com에 따르면, 미국의 소매 헤어케어 제품 매출은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약 2억7570만달러 감소했다. 미국의 소매 헤어케어 시장은 1999-2004년 동안 연평균 약 0.04%의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2003년 매출은 78억9000만달러로 2002년 대비 2.6% 감소하고 2004년에는 약 76억달러로 전년대비 약 3.7% 감소해 연속 하강곡선을 그렸다. 헤어케어 시장의 매출침체는 제품의 혁신성 부족 및 유기제품이나 특수제품을 선호하는 최근 구매기업들의 선호도 변화에 발 빠르게 대처하지 못한데 때문으로 파악된다. 헤어케어 산업은 퍼스널케어(Personal Care) 분야의 성배로 인식되면서 퍼스널 케어 제품의 전반적인 트렌드, 신제품 개발방향, 소비자들의 관심을 주도하고 있으나 혁신성을 유지하지 못 한다면 앞으로 장기침체의 수렁에서 빠져나오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IRI(Information Resources)에 따르면, 헤어케어 제품 가운데 샴푸 매출액은 2004년 1-10월 약 12억30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8% 감소하고 모발염색 제품 매출액은 약 10억달러로 5.6% 감소했다. 판매량은 샴푸 및 염색제품이 각각 3%, 2.5% 감소했다. 헤어 컨디셔너 매출액은 2004년 7억7300만달러로 0.6% 감소하고 판매량 역시 5.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Degussa는 헤어케어가 최근 연이은 매출감소에도 불구하고 최근 몇년 동안 나타난 핵심 트렌드로 볼 때 곧 성장모멘텀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별 요구사항 및 스타일에 맞는 맞춤제품이 핵심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어 맞춤관리 및 기능성 제품에 개발역량이 집중될 전망이다. 또한 민족 및 인종에 따른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특정 인종집단에 맞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기업들의 연구개발도 활발하다. 또 주목할만한 트렌드는 헤어케어 등 퍼스널케어에 대한 남성들의 관심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미국의 남성용 헤어케어 매출규모는 2003년 2억1370만달러로 전년대비 0.5% 성장했으며, 특히 특정 연령대에서 헤어케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젊은 남성들은 염색이나 헤어 스타일링제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베이비붐 세대는 염색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복합 기능성 제품 수요 및 새로운 헤어칼라나 하이라이트 개발, 헤어스프레이 대신 젤이나 무스 수요증가, 헤어 텍스춰라이저(Texturizer) 및 보호제 수요증가 등이 주요 트렌드로 주목되고 있다. Ciba Specialty Chemical에 따르면, 헤어 스타일링 분야에서는 젤 폼(Foam)이나 칼라무스 등 새로운 형태의 무스 및 젤 제품이 등장했다. 세계 헤어스타일링 시장은 연평균 약 3-4% 성장하고 있으며 특정지역은 10%대의 고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헤어칼라 분야에서는 2003년 여성들의 수요가 약 34% 증가하고 남성들의 수요는 약 18% 증가했다. Ciba는 기존의 염색방법을 대체할만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있는데 모발손상, 피부착색, 불쾌한 냄새 등 기존의 헤어 컬러링제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 색상 및 기술 안정성 개선 프로젝트도 추진하고 있다. <화학저널 2005/07/19>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 헤어케어를 주목하라! | 2024-01-09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퍼스널케어] 헤어케어, Masstige 마케팅 부상 | 2006-10-1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