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 심해 격리기술 개발
해양부, 수심 2000m 이상의 심해에 격리 … 의무감축국 대비 해양수산부가 온실가스의 주범인 이산화탄소(CO2)를 포집해 수심 2000m 이상의 심해에 격리ㆍ처리하는 기술개발에 착수한다.2015년 실용화를 목표로 10년간 400억원을 투입하며, 대규모 CO2 발생원으로부터 분리ㆍ포집한 연간 1000만톤의 CO2를 수천년 이상 장기간 심해에 격리해 저장하는 신기술이다. 해양부는 우리나라의 CO2 발생량이 2002년을 기준으로 약 4억5000만톤에 달해 세계 9위, 과거 10년간 증가율은 세계 1위로 교토의정서 2차 이행기간인 2013년에서 2017년 사이에 의무감축 대상국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해양부는 한국해양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 및 연구소의 전문가 50여명이 참여하는 연구개발을 통해 CO2를 심해에 격리ㆍ처리하는 기술개발에 착수할 계획이다. 온실가스의 87% 이상을 차지하는 CO2는 석유나 석탄 등 화석에너지에서 대부분 배출되는데 교토의정서에 따라 선진국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평균 5.6% 감축해야 한다. <화학저널 2005/07/25>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 일본, 이산화탄소 감축 7조원 투입 | 2025-09-26 | ||
[합성섬유] 이산화탄소, 발열섬유로 직접 포집 | 2025-08-25 | ||
[환경화학] 이산화탄소, e-Fuel 원료로 활용 | 2025-07-14 | ||
[기술/특허] 이산화탄소, 쇠구슬로 메탄 전환 | 2025-06-1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화학] 이산화탄소, 포집설비를 단순화하라!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