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ㆍ생명공학 유망기술21 선정
국가과학기술위원회, ITㆍ환경ㆍ지식 포괄 … 세계10위 선진국 목표 2015년 이후 우리나라를 세계 10위 선진국으로 이끌어갈 미래 국가유망기술로 재생 의과학, 핵융합, 맞춤의학ㆍ신약 등 21개가 선정됐다.정부는 8월29일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제18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를 열고 <미래 국가유망기술 21>을 확정해 범국가적인 역량을 집중시켜 나가기로 했다. 미래 국가유망기술 21은 앞으로 10-20년 이후 사회를 풍요롭고 건강ㆍ쾌적하며 안전한 선진사회로 만드는데 기여할 핵심기술 분야로 ▲시장성(경제성) ▲삶의 질 ▲공공성(국가안위ㆍ위상제고) 등 3개 기준에 따라 선정됐다. 시장성 기술로는 실감형 디지털 컨퍼런스, 초고성능 컴퓨팅, 나노ㆍ고기능성 소재가, 공공성 기준에서는 전지구 관측시스템과 국가지원 활용, 기후변화 예측 대응, 해양영토 관리ㆍ이용 등이,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유망 기술로는 생체방어, 맞춤 의학ㆍ신약, 생태계 보전ㆍ복원 등이 선정됐다. 재생 의과학 기술은 3개 기준에 공통으로 적용된 미래기술로 채택됐으며 인지 과학ㆍ로봇, 감성형 문화콘텐츠 등 2개 기술은 시장성과 삶의 질 제고 등 2개 기준이 함께 고려됐다. 공공성과 시장성에 모두 부합하는 기술로 지식과 정보보안, 초고효율 운송ㆍ물류 관리, 고부가 생물지원, 인공위성, 핵융합 등 5개가 선정됐다. 삶의 질을 높이면서 동시에 공공성을 충족하는 유망기술로는 유비쿼터스 사회기반 구축 및 관리기술, 재해ㆍ재난 예측 및 관리, 차세대 원자력시스템, 청청ㆍ신재생 에너지 등 4개이다. 정부는 미래 유망기술 선점을 위해 면밀한 전략을 수립해 차질없이 이행하면 우리나라가 2015년경 1인당 GDP(국내총생산) 3만5000만달러 이상을 달성하고 삶의 질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국 중 현재 26위에서 20위권으로 도약하는 등 세계 10위의 선진국에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부는 하반기에 21개 미래기술 분야에 대한 개략적인 기술지도(TRM)를 작성하고 2006년 8월까지 <미래 국가유망기술 개발 종합계획>을 범부처적으로 마련해 미래 핵심기술 확보에 국가적 역량을 집중해나갈 계획이다. <화학저널 2005/08/31> |
한줄의견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