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정밀화학 육성에 농업문제 해결 “일거양득” 2005년 2월 교토의정서가 본격 발효됨에 따라 이산화탄소(CO2) 배출량 감축 요구가 산업 전방위에 걸쳐 뜨거운 감자로 부각되고 있다.더욱이 고유가 시대를 맞아 신·재생 에너지 저변확대를 위한 정부의 투자(?)가 약속되면서 태양광, 태양열, 풍력, 지력 등과 함께 바이오메스(Biomess)를 이용한 대체연료로 바이오디젤(Biodiesel)이 급부상하고 있다. 국내 바이오디젤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가야에너지의 유정우 사장은 바이오디젤을 일컬어 『환경산업계의 Naphtha』라고 단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바이오디젤은 대체 에너지원으로의 효용성 뿐만 아니라 고부가가치 친환경 정밀화학제품의 기초원료가 되기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화석연료인 석유화학 패턴을 이어갈 주자가 바이오디젤이 될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하고 있다.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는 바이오연료가 2010년까지 세계 휘발유 수요의 5%를 대체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바이오디젤 산업이 가장 앞서 있는 유럽은 현재 4조원(대체에너지 2조원에 정밀화학 2조원) 시장이 2012년까지 8배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표, 그래프 | 바이오디젤의 공해 감축효과 | 바이오디젤의 원료별 공해 감축효과 | 경유 및 바이오디젤 소비량 비교(2003) | 바이오디젤 생산 반응식 | 유럽의 바이오디젤 생산능력 변화 | 미국의 대두성분제품 개발현황 | | <화학저널 2005/9/1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정제] Biofuels, Biodiesel 프로젝트 확대 | 2004-08-3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정제] NEW, Biodiesel 10만톤 플랜트 건설계획 | 2001-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