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10월 경기 예상보다 부진
전경련, 10월 108.2 불구 9월은 89.8로 부진 … 고무ㆍ플래스틱 111.1 대기업들이 느끼는 체감경기 전망이 2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여 경기회복 기대감이 살아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전국경제인연합회는 10월5일 업종별 매출액 기준 600대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10월 BSI 전망치가 110.2를 기록해 9월 111.4에 이어 2개월 연속 기준치인 100을 넘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9월 경기가 실제로 어떠했는지를 알 수 있는 9월 BSI 실적치는 99.2를 기록해 5월 98.2, 6월 93.4, 7월 91.7, 8월 91.0에 이어 5개월 연속 기준치 아래로 떨어져 실제경기는 전망보다는 좋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BSI 전망은 경공업(97.6)에서 음식료(84.8), 섬유(84.6)가 부진을, 의복ㆍ가죽ㆍ신발(115.8), 고무ㆍ플래스틱(111.1)은 호전을 예상했으며 중화학공업(115.2)은 종이(116.7), 비금속광물(146.2), 정유(120.0) 등을 중심으로 호전을 전망했다. 섬유(84.6)는 업종의 장기불황을 반영해 내수침체의 장기화, 중국 등 경쟁국 공급제품의 유입 등 복합적 요인으로 부진 지속을 전망했으며 실적(76.9) 또한 전월대비 부진했고 가중 전망(71.0) 역시 부진했다. 고무ㆍ플래스틱(111.1)은 내수회복 기대로 호전경기를 전망했으나, 9월 실적(100.0)은 전월과 유사한 경기를 나타냈고, 가중지수는 106.0으로 전월에 비해 호전을 예상했다. 제약ㆍ화학제품(108.2)은 중국 화섬기업의 재고 감소 및 관련산업의 성수기 도래 등으로 호전을 전망했으나, 실적(89.8)은 전월에 비해 부진했다. 정유(120.0)는 고유가에 따른 마진증대 등으로 전월대비 호전을 전망했으며, 실적(140.0) 또한 고유가와 판매호조 영향으로 호전을 나타냈다. 비제조업(109.2)은 소매업(117.4)과 운수(138.1), 전력ㆍ가스(118.2)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호전을 전망했으며, 정보통신산업은 영상ㆍ음향ㆍ통신장비(132.4) , 반도체ㆍ컴퓨터ㆍ전기(140.0)의 호전을 예상했다. 내수는 제조업과 비제조업이 모두 호전을 예상해 BSI 전망치가 119.8을 기록한 가운데 정유(160.0), 반도체ㆍ컴퓨터ㆍ전기(153.3) 등이 큰 폭의 호전을 기대했다. 수출도 영상ㆍ음향ㆍ통신장비(147.1), 반도체ㆍ컴퓨터ㆍ전기(153.3)를 중심으로 호전이 예상돼 BSI 전망치가 108.8을 기록했다. 이밖에 자금사정(105.3), 투자(102.8), 채산성(109.4)은 100을 넘어 호전이 기대됐으나 고용(98.8) 전망은 부진이 예상됐다. 전경련은 “경기부양을 위한 정책 일관성 유지와 고유가에 대한 대책, 투자확대를 위한 기반조성으로 경기회복의 기초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화학저널 2005/10/0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금융권도 재편 압박 | 2025-09-30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경영권 분쟁 재점화 | 2025-09-30 | ||
[화학경영] 태광산업, 석유화학 재편 속도낸다! | 2025-09-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원료 불확실성 확대된다! | 2025-10-02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재편 ② - 일본, 통폐합에 차별화 강화 스페셜티도 안심 못한다!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