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카겔, 고부가화 서둘러야
국내 실리카겔 시장이 내수부진으로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에따라 실리카겔 생산기업들은 수출선 확대와 함께 고부가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등 타개책 마련에 부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실리카겔 시장은 93년 3300톤, 94년 3500톤, 95년 3800톤을 기록하는 등 꾸준히 성장해왔으나 96년에는 3900톤으로 전년대비 2.6% 소폭증가에 그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실리카겔 시장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김·식품포장 수요의 감소와 전자제품 경기악화에 영향을 받은 때문으로 분석된다. 즉, 국내 실리카겔 시장위축은 최근 일회용 김의 은박포장 등 진공포장방식으로의 전환이 실리카겔을 대체하고 전자제품 수출도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그래프: | 실리카겔 수요구성비 | 실리카겔 시장점유율(1995) | 국내 실리카겔 수요추이 | <화학저널 1997/1/13.20>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POM, 의료용 중심 고부가화한다! | 2025-10-01 | ||
[EP/컴파운딩] 바스프, 전기‧전자용 PA 고부가화 | 2025-08-07 | ||
[EP/컴파운딩] TPS, 가동률 상승에 고부가화한다! | 2025-07-14 | ||
[합성고무] SSBR, 고부가화로 한국 따돌린다! | 2025-06-0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폴리머] PS, 중합기술 활용해 고부가화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