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SO-9000 Series는 수출입 재화의 경쟁력을 가늠하는 기존의 인식, 즉 가격위주의 경쟁을 품질로 전환시키고 있다. ISO를 구체적으로 요약하면,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공급하는 기업의 총체적인 품질보증을 인정하는 국제규격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표준규격인 KS가 갖는 생산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위주의 규격으로, 공식적인 제3의 인증기관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1987년 국제표준화기구의 품질보증분야 표준화 전문위원회(TC 176)의 WG에서 영국 BS 5750과 미국 ANSI ZI.15를 기초로 ISO-9000시리즈 5개 규격이 발간됐다. 표, 그래프 : | ISO-9000시리즈 기본규격 | ISO-9000시리즈 규격의 적용기준 | ISO-9000시리즈 인증절차 | ISO-900시리즈의 주요 국별 규격화 현황 | ISO-9000~9003의 검증 요구사항 | ISO-9000시리즈 계열규격간 구도 | EC의 강제인증 분야 | <화학저널 1992/11/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EDC, 건설 및 자동차 부진하다! | 2025-02-26 | ||
| [에너지정책] 정부, 바이오 및 탄소산업 R&D "앞장" | 2016-04-22 | ||
| [금속화학/실리콘] 국제 철강 및 비철금속 산업전 개최 | 2012-09-18 | ||
| [환경화학]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 | 2011-11-28 | ||
| [산업정책] 한-중, 나노소재 및 신ㆍ재생에너지 협력 | 2011-11-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