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개발 요란하나 매출 기대이하
|
2004년 약품비 청구금액 289억원 불과 … 한국Pfizer는 1316억원 달해 스포트라이트를 한 몸에 받으며 출시됐던 대부분의 국산 신약들이 신약이라는 이름값을 제대로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애초 기대한 만큼의 매출실적을 올리지 못하는 것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국내 개발신약의 연도별 건강보험 전자문서교환(EDI)방식 약품비 청구현황>에 따르면, 2004년 기준 국내 개발신약은 9개 품목이다. 국산 신약의 청구금액은 2004년 집계 결과 총 288억8100만원에 불과했다. 동아제약의 스티렌캅셀이 155억90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SK케미칼의 조인스정200㎎이 87억9800만원으로 뒤를 이었고, 중외제약의 큐록신정100㎎이 23억3500만원으로 3번째를 차지했다. 셀론텍의 콘드론 5억8500만원, LG생명과학의 팩티브정320㎎ 5억5600만원, 종근당의 캄토벨주 2억9200만원, 동화약품의 밀리칸주 2억8200만원, SK케미칼의 선플라주100㎎과 선플라주50㎎은 2억6300만원, 대웅제약의 대웅이지 에프외용액 1억8000만원 등 약품비 청구금액은 기대에 턱없이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실제로 글로벌 제약기업 한국Pfizer의 대표적 처방약이라 할 수 있는 고혈압치료제 노바스크는 2004년 1년간의 청구액이 2004년 1316억원으로, 국산 신약의 초라한 성적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이다. 국산 신약이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한 제약기업 관계자는 “이미 비슷한 효능을 가진 다른 약들이 시장을 선점하고 있어 경쟁에서 밀리기 때문인 것 같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국산 신약이 의료진들에게 믿음을 주지 못하고 외면받는 것도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지 못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저작권자(c)연합뉴스-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6/05/23>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전자소재] 다우, 한국과 데이터센터 액체냉각 솔루션 개발 | 2025-11-07 | ||
| [기술/특허] R&D, 개발기간을 1년에서 1개월로 단축한다! | 2025-11-07 | ||
| [정밀화학] 바스프, 3D 프린팅으로 촉매 개발 | 2025-11-07 | ||
| [페인트/잉크] KCC, HD현대와 선박용 수용성 페인트 개발 | 2025-11-06 | ||
| [제약] LG화학, 신장암 혁신 치료법 개발 본격화 | 2025-11-0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