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타이어, 중국서 제3공장 가동
|
자싱에 250만개 생산설비 본격 가동 … 55% 수출에 45%는 중국내수 한국타이어가 중국 시장 1위 수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한국타이어는 5월29일 중국 Zhejiang성 자싱(嘉興)에 연산 250만개 생산규모의 제3공장 건설을 준공하고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한국타이어는 2006년 하반기 자싱공장을 250만개 규모로 추가 증설하고 Jiangsu성 화이안(淮安)공장도 일부 증설해 2006년 말까지 현재보다 550만개가 늘어난 총 2800만개의 연산능력을 중국에서 갖출 계획이다. 2800만개 가운데 55%는 북미와 유럽 등 세계에 수출되며 45%는 중국 내수용으로 공급된다. 한국타이어는 2005년 총 2800여만개인 중국 승용차용 타이어시장에서 710만개(25.2%)를 판매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인도네시아 타이어기업인 가자퉁갈로, 최근 저가 공세로 한국타이어를 거세게 추격해 왔지만 한국타이어의 증설에 따라 격차를 벌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박중화 자싱공장장은 “자싱 제3공장은 모듈화가 많이 이루어져 균일한 품질을 확보하고 제조원가도 크게 줄어들게 됐다”면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시장에서 1위 자리를 지킬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1999년 중국 생산을 시작한 한국타이어는 중국에 먼저 진출한 Michelin, Goodyear 등 세계 굴지의 타이어기업들을 제치고 가동 4년만인 2003년 중국시장 1위에 올라서는 기염을 토했다. 공장 가동 직후 중국 최대 자동차기업인 일기폴크스바겐에 타이어를 공급하는 등 품질대비 저렴한 가격이 시장의 좋은 반응을 얻었기 때문이다. 한국타이어는 현재 일기폴크스바겐을 비롯해 Shanghai GM, 난징 피아트, Beijing Hyundai 등 중국 30여개 자동차기업에 완성차공급용(OE) 타이어를 납품하고 있다. 2005년 5억8000만달러의 매출을 올린 한국타이어 중국본부는 2006년 7억5000만달러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자싱공장 인근 1만3000평 부지에 1100만달러를 투자해 최신 설비를 갖춘 연구소를 신축하고 가동에 들어갔다. 한국타이어는 아울러 2006년 고급타이어 전문 직영 판매점을 Beijing과 Shanghai 등 주요 거점에 열어 브랜드 이미지도 제고하기로 했다. (자싱=연합뉴스 이정진 기자) <저작권자(c)연합뉴스-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6/06/0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산업정책] LG화학, 중국서 글로벌 의제 주도 | 2024-06-24 | ||
| [올레핀] 부타디엔, 한국타이어가 망쳤다! | 2023-05-09 | ||
| [올레핀] 부타디엔, 한국타이어 후폭풍 여전 | 2023-04-11 | ||
| [올레핀] 부타디엔, 한국타이어 화재 “타격” | 2023-04-04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올레핀] 부타디엔, 한국타이어를 원망한다! | 2023-05-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