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램, 차세대 반도체 선두주자 부상
|
특허청, F램ㆍM램 특허 급감에도 P램은 꾸준 … 삼성전자는 6위 앞으로 P램 반도체가 차세대 반도체로서 시장 주도권을 잡을 것으로 전망된다.특허청에 따르면, 차세대 반도체에 대한 미국 특허를 조사한 결과 F램, M램의 특허가 최근 들어 급격히 감소하는 가운데 P램은 2001년 이후 큰 변화 없이 등록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로 실용화에 필요한 기술들이 등록되고 있는 것을 볼 때 P램 제품이 가장 먼저 시장 주도권을 잡을 것으로 전망됐다.
2001년-03년 M램은 연평균 310여건, F램은 200건의 등록을 나타냈으나, 2004년 M램이 110건, F램이 49건으로 큰 폭으로 감소한 반면, P램은 2001-03년 평균 55건, 2004년에는 19건의 등록을 기록해 상대적으로 감소 폭이 작은 것으로 분석됐다. 출원되는 특허 기술내용도 원천기술 개발완료 이후 제품 개발 단계에서 출원되는 칩 구동회로 기술 등 제품화 관련 기술이 38% 수준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아 다음 세대의 선두주자는 당분간 P램이 차지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국내기업의 차세대반도체 특허현황을 살펴보면, 하이닉스는 F램이 미국 특허등록 2위를 차지하는 등 강세를 보이는 반면, P램 및 M램은 거의 없었다. 반면, P램분야 미국 특허 6위인 삼성전자는 최근 P램 특허 2위인 미국 Ovonyx와 특허협정을 체결했다. 표, 그래프: | 차세대 반도체 분야의 미국 특허 출원동향 | <화학저널 2006/07/13>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퍼스널케어] KCC실리콘, 차세대 실리콘 뷰티 소재 공개 | 2025-11-04 | ||
| [배터리] HS효성첨단소재, 차세대 음극재 사업 진출 | 2025-11-03 | ||
| [점/접착제] 카길, 차세대 이소시아네이트 대체소재 소개 | 2025-10-30 | ||
| [배터리] 분리막, 공급망 설계역량이 차세대 경쟁력 | 2025-10-22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배터리] 차세대 배터리, 탈중국에 미래형 소재 부상 첨단기술 개발만이 살길이다!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