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화학제품 사고 대응력 부족
|
대도시 긴급 대응 시스템 미비 … 전문가팀 양성과 정보교류 절실 중국은 유해 화학물질 누출 등의 사고에 대응할 능력이 부족하다고 중국 정부의 한 고위관리가 7월12일 밝혔다.상하이데일리 보도에 따르면, 중국 환경보호총국 환경응급사고조사센터 천산룽(陳善榮) 부주임은 화학물질 사고 관리와 관련해 Beijing에서 열리고 있는 중국-독일 심포지엄에 참석해 중국이 화학물질 사고에 대한 전문적인 조사와 영향평가 경험이 축적돼있지 않다고 밝혔다. 천산룽 부주임은 “일부 성 단위와 대부분의 도시에 긴급대응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지 않다”며 “정보교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각 부문이 효율적으로 협조할 수 없으며 희생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적기를 놓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중국은 화학제품과 농약을 대규모로 수출입하는 국가로 위험 화학제품의 생산, 운송, 처리에 관련된 섬유기업이 20만개 이상이다. 2005년 중국에서는 142건의 화학물질 사고가 발생해 229명이 사망했으며, 2004년에는 51건이 발생해 62명이 숨졌다. 최근 일어난 최대 규모의 환경재앙은 2005년 11월 발생한 쑹화강 오염사건으로 380만명에 대한 물 공급이 5일간 중단됐다. 천산룽 부주임은 “화학물질 사고에 대처하기 위한 전문가팀 양성이 필요하다”며 “기업과 정부간 정보 교류는 물론 환경당국, 공안, 소방, 기상, 수원관리 조직들이 서로 긴밀히 정보를 교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상하이=연합뉴스 진병태 특파원) <저작권자(c)연합뉴스-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6/07/14>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벤젠, 중국 부진에 국제유가마저 약세로… | 2025-11-05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배터리] 전해질, 탈중국 움직임 본격화… 일본, 중국 공백을 노린다! | 2025-11-07 | ||
| [EP/컴파운딩] PA, 중국 신증설로 압박 강화 고기능화해야 살아남는다! | 2025-11-07 | ||
| [EP/컴파운딩] POM, 중국 반덤핑 효과도 “별로” 코오롱ENP 기대 무너졌다! | 2025-11-07 | ||
| [화학경영] 도레이, 중국 섬유‧EP 사업 확대… | 2025-11-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