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 사용 Deep Cycle 축전지 국산화
				
				
			| 10월의 엔지니어상 세방전지 임동준 연구소장 … 누액방지기술 상용화과학기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국내 최초로 Deep Cycle용 축전지를 개발한 세방전지 임동준 연구소장(사진)을 10월의 엔지니어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대기업 부문 수상자로 선정된 세방전지 임동준 연구소장은 Deep Cycle용 축전지 국산화와 고에너지 밀도 Gel 타입 축전지 개발에 성공해 국산 축전지의 국제적인 경쟁력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공로가 인정돼 이달의 엔지니어상 10월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기부 관계자는 “LONGEST 개발로 그 동안 수입제품에 의존했던 약 200억원에 이르는 국내 Deep Cycle용 축전지 시장은 전량 국산화가 가능하게 됐으며, 역으로 일본, 오세아니아 등의 해외 시장에 수출하는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임동준 연구소장은 통신장비와 UPS 등의 제품에 적용되는 고에너지 밀도 Gel 타입 축전지인 CGS 전지도 개발해 국내에서 유일하게 친환경 제품으로 인증을 받았으며, 세계 최초로 경량 PP(Polypropylene)를 사용하면서도 그동안 해결되지 않던 누액 방지 기술을 상용화했다. 아울러 최근에는 밀폐 무보수(無補修) 전지의 장점을 일반 Deep Cycle용 축전지에 결합시켜 밀폐 무보수형 Deep Cycle용 축전지 개발에도 성공했으며, 태양광이나 풍력 등과 같은 대체에너지 저장 시스템 개발과 함께 새로운 전지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편, 중소기업 부문에서는 고진공 브레이징(Brazing) 공정기술을 개발한 스펙 이상희 대표이사가 선정됐다. <화학저널 2006/10/11>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PP, 수요 실종·관망세 속 하락 악순환 한다! | 2025-10-21 | ||
| [바이오폴리머] PLA, 도시락 용기용 PP를 대체한다! | 2025-10-16 | ||
| [석유화학] PP, 인디아 공급과잉에 무너졌다! | 2025-10-13 | ||
| [석유화학] PP, 연휴 앞두고 거래 잠잠하다! | 2025-09-30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첨가제] 난연제, 브로민계 사용규제 강화 수요 회복 지지부진하다! | 2025-1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