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PㆍCPP필름 수요증가 미미
|
일본, OPP필름 신규수요 감소추세 … CPP필름은 공업용 호조 일본은 2007년 OPP(Oriented Polypropylene) 필름과 CPP(Chlorinated Polypropylene) 필름 수요가 미미한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일본 PP필름공업연합회에 따르면, OPP 필름은 주력분야인 식품포장용이 꾸준히 증가해 2007년에도 전년대비 1.1% 증가할 전망이다. CPP 필름은 식품포장분야의 경포장재 수요가 감소하고 있어 높은 수요신장을 기대할 수 없지만, IT 전자부품 등 공업용이 호조를 보여 2007년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6년 수요전망에서는 OPP 필름이 정체, CPP 필름은 5.4%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었다.
OPP 필름은 주력분야인 식품포장재용이 소자녀 고령화와 용기 재활용법 등으로 신규수요가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아직은 사용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공업용도 호조를 계속하고 수출 신장도 기대되기 때문에 전체 수요는 완만한 신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CPP 필름은 2006년에 이어 IT 전자부품 관련 공업용과 레토르트 용기의 수출증가로 상반기에는 전년동기대비 2.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하반기에는 IT 전자부품 관련 재고조정이 예상되고 있어 공업용 신장이 둔화돼 CPP 필름 수요증가가 둔화돼 2007년 전체적으로는 1.5% 증가한 16만1128톤에 그칠 것으로 예측된다. 2006년 OPP 필름 출하는 0.1% 증가에 그친 25만77445톤으로 기후의 영향으로 식품용 수요가 신장되지 않아 저조했다. 또 CPP 필름은 공업용과 수출용 수요 호조로 5.4% 증가한 15만8823톤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표, 그래프: | 일본의 PP필름 출하 전망(2007) | <화학저널 2007/02/21>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에너지정책] 석유화학, 에너지 수요증가 주도 | 2018-03-30 | ||
| [전자소재] OLED, 모바일·TV 수요증가 기대 | 2018-03-08 | ||
| [합성고무] HDI, 자동차 확대생산 수요증가 | 2017-08-30 | ||
| [올레핀] 아크릴산, 수요증가 대응 “총력” | 2016-08-09 | ||
| [반도체소재] SK하이닉스, D램 수요증가 꾸준 | 2015-10-1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