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투자, 경제성장 기여도 30%
|
투자효율성은 OECD 평균수준 … 투자확대와 효율증대 노력 필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우리나라 연구개발(R&D) 투자가 경제성장에 기여한 비율은 30.6%로 일본보다 낮지만 미국, 캐나다, 이태리 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D투자 효율성은 0.182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수준(0.19)으로 분석됐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이 2월15일 발표한 <연구개발 투자의 경제성장 기여도 국제비교>에 따르면,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국내 R&D투자의 경제성장 기여도는 30.6%로 일본(48.8%)보다 낮지만 미국(20.8%), 캐나다(16.0%), 이태리(24.3%) 보다는 높았다. 또 R&D투자의 효율성을 분석할 때 주로 사용되는 총 요소생산성의 R&D투자에 대한 탄력성을 측정한 결과, 우리나라는 R&D투자가 1% 증가할 때 총 요소생산성이 0.18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R&D투자 효율성이 0.182라는 뜻으로 OECD 회원국들과 비교할 때 평균(0.19) 수준이었다. 총 요소생산성은 생산성 증가(경제성장)에서 노동, 자본 등 요소투입 증가분을 제외한 부분을 말한다. R&D투자 효율성은 1971년-1989년 0.137에서 1990년-2004년 0.187로 높아져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TEPI는 “총 요소생산성 증가의 대부분이 R&D 투자액과 R&D투자 효율성 증가에서 비롯됐다”면서 “혁신 주도형 경제로 원활하게 전환하고 잠재성장률을 지속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R&D 투자의 확대와 효율성 증대를 위한 정부와 민간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화학저널 2007/02/2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산업정책] 베트남,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에 경제성장률 8% 달성할까? | 2025-05-23 | ||
| [산업정책] 말레이지아, 동남아시아 경제성장 주도 롯데케미칼은 부진 장기화… | 2025-04-25 | ||
| [산업정책] 유럽 화학산업, 경제성장‧친환경 갈등 경쟁력 약화 심각하다! | 2024-03-15 | ||
| [석유화학] 동남아 석유화학 ①, 경제성장으로 투자 가속화 탄소중립 해결이 요구된다! | 2022-04-29 | ||
| [산업정책] 중국, 경제성장률 급격히 둔화됐다! | 2022-03-0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