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TA, 구조조정 않으면 생존 어렵다!
중국 신증설 폭주로 공급과잉 심화 … P-X 코스트 압박으로 적자까지 아시아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 생산기업들이 구조조정의 위기로 내몰리고 있다.중국에서 PTA 신증설 러시를 이루면서 공급과잉이 심화되고 있어 경쟁력이 떨어지는 플랜트가 가동을 중지해야 하는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고, 대형 메이저를 중심으로 M&A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중국은 신증설을 급격히 추진하면서 PTA 수입량이 2006년 690만톤을 정점으로 급격히 감소해 세계 PTA 공장가동률이 2010년에도 평균 80% 정도에 머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더욱이 원료인 P-X(Para-Xylene)는 아시아 공급부족이 해소되지 않고 가격까지 강세를 지속해 PTA의 코스트를 상승시켜 수익성 악화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PTA 사업은 장기에 걸쳐 수익성 악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생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강화되고 있다. 아시아 PTA 시장은 2006년 최대인 중국을 중심으로 600만톤에 가까운 신규설비를 완공했다. 특히, 초가을부터 연말에 걸쳐 중국의 신증설 완료가 집중돼 생산능력 60만톤의 대형 플랜트 5기가 한꺼번에 가동함으로써 공급과잉이 확대되고 있다. 중국의 PTA 플랜트 신설 러시는 일본, 한국, 타이완, 타이 등 중국 수출을 중심으로 PTA 사업을 확장해온 PTA 생산기업들을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 중국의 PTA 생산능력은 2005년 500만톤에서 2006년 1000만톤으로 확대되고 2007년과 2008년에도 각각 250만톤의 신증설이 예정돼 있어 2007년에는 중국의 PTA 생산능력이 1500만톤으로 수요량에 필적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의 PTA 수입량은 2006년 690만톤을 정점으로 급격하게 감소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다만, P-X 공급부족의 영향으로 신규 플랜트가 풀가동할 수 없어 2007년에는 100만톤 정도 감소에 머물지만 2008년부터는 대폭적인 감소가 불가피해지고 있다. P-X 가격의 고공행진도 PTA의 수익성을 계속 압박하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Polyester 수요가 높은 신장률을 나타내고 있음에도 P-X 공급능력 확대가 뒤따르지 않아 상당기간 동안에는 공급부족이 해소되지 않을 전망이다. 때문에 북미나 중동에서 고가의 P-X Spot 물량을 조달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결국, 중국 수출비중이 높은 일본, 한국, 타이완의 PTA 플랜트는 가동률을 대폭 감축할 수밖에 없어 소규모 또는 코스트가 높은 플랜트, P-X를 Spot 구매에 의존해야 하는 플랜트는 폐쇄 위기를 맞고 있다. 일부 PTA 메이저들은 PTA 사업의 적자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고 생산능력의 대형화와 함께 원료 P-X 조달을 확립하기 위해 M&A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화학저널 2007/04/05>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PTA, 중국 마진 적자로 불안 심화 | 2025-09-26 | ||
[석유화학] P-X, 불확실성과 PTA 수익 악화에 | 2025-09-25 | ||
[석유화학] PTA, P-X‧겨울 수요에 올랐지만… | 2025-08-29 | ||
[화학경영] 대한유화, 중국 구조조정 수혜 | 2025-08-2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합성섬유] PTA, 생산능력 감축은 생존문제 일본은 아예 생산을 접는다!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