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나노튜브 산업응용 가능성 제고
|
KAIST 최성민 교수, 분산기술 개발 … 전자소자ㆍ복합소재 응용가능 탄소나노튜브의 산업적 응용 가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최성민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를 물이나 유기용매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분산상태의 탄소나노튜브 표면 분자막 구조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5월21일 발표했다. 연구결과는 재료과학 분야에서 저명한 국제저널인 Advanced Material 5월19일자에 게재되고 미국 화학학회에서 연구 하이라이트로 선정돼 소개됐으며 연구의 주요 내용은 특허 출원됐다. 탄소나노튜브는 <머리카락 보다 훨씬 가늘면서도 다이아몬드보다 강한> 특성 때문에 차세대 소재로 각광받고 있으나 분자들의 끌어당기는 힘으로 인해 엉켜진 다발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산업적 응용을 위해서는 탄소나노튜브를 고르게 분산시켜 원하는 소재에 흡착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최성민 교수팀은 엉킨 상태의 탄소나노튜브 다발을 물(수용액)이나 유기용매에 고르게 분산시킨 뒤 나중에 건조했을 때도 고르게 분산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탄소나노튜브의 산업적 응용 가능성을 크게 높인 것이다. 연구팀은 계면활성 분자를 이용해 탄소나노튜브를 물에 분산시킨 뒤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흡착된 계면활성분자를 수용액 분산상태에서 곧바로 중합반응을 시켜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계면활성 분자로 이루어진 단일막을 형성하도록 했다. 처리된 탄소나노튜브는 물에서 꺼내 건조하더라도 엉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르게 분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연구팀은 또 중성자 빔을 이용해 중합반응된 탄소나노튜브의 수용액 분산특성과 탄소나노튜브의 표면 분자막의 구조를 규명했다. 탄소나노튜브가 고르게 분산됐음을 자체적으로 입증한 것이다. <화학저널 2007/05/2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나노소재]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양자점 규명 | 2020-11-05 | ||
| [나노소재] 옥시알, 탄소나노튜브 솔루션 공개 | 2019-03-20 | ||
| [화학경영] 제이오, 탄소나노튜브 사업 확대 | 2015-11-13 | ||
| [나노소재] 탄소나노튜브 대면적 정제기술 개발 | 2014-11-17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나노소재] 탄소나노튜브, 한화·금호 적극적이나 수요 없어… | 2015-08-2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