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집증후군 해방 가능할 것인가!
특허청, 마감재 특허 매년 40건이상 출원 … 개인출원 70% 차지 새로 지은 집(주택)에 입주한 거주자들이 현기증, 두통, 호흡기질환을 호소하게 되는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에 관심이 고조되면서 관련특허 출원이 늘고 있다.새집증후군의 주요 원인인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톨루엔(Tolu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아세톤(Acetone) 등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은 페인트나 단열재 혹은 가구에서 뿜어져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무엇보다도 건축마감재로부터 나오는 유해물질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시급하다. 특허청에 따르면, 새집증후군을 해결하기 위한 건축마감재 분야의 특허 출원은 1967년부터 1999년까지 총 22건에 불과했으나 2000년 이후 해마다 증가해 2004년부터는 매년 40건 이상이 출원되고 있다. 새집증후군 관련특허 출원동향 대부분 건축마감재를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등이 방출되는 천연재료를 사용하면서도 강도가 낮아 시공이 어려운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이산화티타늄(TiO2)을 사용한 광촉매층을 마감재에 형성해 벤젠(Benzene)ㆍ톨루엔ㆍ포름알데히드 등과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분해하는 기술이 출원돼 관심을 끌고 있다. 다만, 개인의 출원이 법인 출원보다 2배 이상 많은 70%를 차지하고 있어 관련기업들이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고 기술개발을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은 하루의 95%인 22시간 54분을 실내에서 보내는 것으로 조사돼 집을 예쁘게 꾸미는 일도 중요하지만 유해물질 없는 쾌적한 공간을 만드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가질 때이기 때문이다. 표, 그래프: | 새집증후군 관련특허 출원동향 | <화학저널 2007/06/1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기술/특허] PFAS, 분해방법 길이 열렸다! | 2022-08-19 | ||
[산업정책] 건축자재, 새집증후군 규제 강화 | 2013-10-21 | ||
[환경] 환경연구원, 새집증후군 유발물질 조사 | 2011-12-15 | ||
[기술/특허] 황사 피해방지 기술특허 봇물 | 2009-02-1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식품소재] 사카린, 안전성 논란에서 "해방" | 2011-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