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년 한국의 BTX국내수요는 SM및 P-X등 유도품의 대폭적인 시설능력 증가와 생산량 증가에 따라 25.7% 증가한 434만5000톤을 기록했다. 생산 또한 지속적인 시설능력의 확대에 힘입어 12.8% 증가한 466만800톤, 수입도 국내 생산능력의 한정으로 38.1% 증가한 88만3000톤을 기록했다. 그러나 수출은 높은 국내수요 증가에 따른 수출여력 감소로 8.9% 줄어든 120만7000톤을 기록했다. BTX 96년 벤젠의 국내수요는 SM의 시설능력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12.3% 증가한 161만톤을 기록했고, 생산은 일부 Crude Benzene의 고순도 벤젠 전환과 고려종합화학 및 쌍용정유의 증설에 따라 9.4% 증가한 143만1000톤을 기록했다. 톨루엔의 국내수요는 국내경기의 부진에 따른 용제시장의 정체와 TDI의 수요증가 둔화 등으로 다소 감소한 34만9000톤을 기록했으나, 공급은 시설능력 증가에 따라 9.5% 증가한 103만9000톤을 기록했다. 수출은 12.3% 증가한 69만5000톤을 기록했다. 자일렌은 주요 유도체인 P-X생산능력 확대에 따른 수요증가와 시설능력 확대로 95년에 이어 생산 및 내수 모두 크게 증가했다. 생산은 급증하는 수요를 맞추기위해 높은 가동률을 유지함으로써 16.7% 늘어난 219만8000톤을 기록했고, 국내수요는 P-X제조용의 높은 수요증가에 힘입어 43.9% 증가한 238만6000톤을 기록했다. 표, 그래프 : | BTX 수급현황 | SM 수급현황 | PS 수급현황 | ABS 수급현황 | Alkyl Benzene 수급현황 | 페놀 수급현황 | MA 수급현황 | 카프로락탐 수급현황 | TPA 수급현황 | DMT 수급현황 | <화학저널 1997/6/1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농화학] 농약, 한국 시장 2조원대 성장 | 2025-10-14 | ||
[반도체소재] JX금속, 한국서 반도체 소재 확대 | 2025-09-25 | ||
[반도체소재] TOK, 고순도 화학약품 한국 투자 | 2025-09-2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무기화학/CA] 칼륨, 반덤핑에도 한국산 선호현상 염화칼륨은 캐나다산 안정화… | 2025-09-26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재편 - ①한국, 에틸렌 감축 기준 불분명 죽고 살기 혈투 우려된다! | 202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