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 대응 협력 아시아 모범
|
CDP, 한국정부ㆍ산업간 협력 참고할 만 … 기업 탄소배출감축계획 공개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의 정부-산업간 협력모델이 다른 아시아 국가의 모범이 된다는 평가를 받았다.국제비영리기구인 탄소정보 공개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의 아시아지역 수행기관인 ASrIA(아시아책임투자협회)는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9개국 기업들의 2007년 탄소정보 공개 보고서를 9월26일 발표했다. ASrIA는 보고서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정부의 긍정적인 정책방향 제시와 기업의 꾸준한 대응준비는 정부차원의 활동이 미미한 아시아 이웃국가들이 충분히 참고할 만하다”고 평가했다. 또 “유럽과 비교해 아시아 국가(일본 제외)들은 기후변화와 관련한 정부차원의 강력한 정책이 없고, 탄소거래시장도 준비단계에 머물러 있다”며 “아시아 기업들이 대응전략을 세우고, 미래 비즈니스 기회 창출을 위한 노력에 소극적이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ASrIA는 보고서 작성을 위해 2월 중국, 인디아, 인도네시아, 말레이지아, 필리핀, 싱가폴, 한국, 타이완, 타이 등 9개국의 166개 대표기업에 설문조사서를 발송했으며 44개(26%) 기업이 5월 말까지 회신했다. 설문 대상이 된 국내기업 28곳 중 현대자동차와 삼성전자 등 10곳(36%)이 응답해 인디아(42%)에 이어 2번째로 응답률이 높았는데, 국내기업들은 탄소배출감축계획과 투자내역 등을 내놓아 정보공개의 질적인 측면에서 인디아를 앞질렀다고 ASrIA는 설명했다. 조사에 참여한 국내기업은 현대자동차, S-Oil, 신한금융, 하이닉스, LG Philips, 삼성전자, 포스코, KT, SKT, 한국전력 등이다. 한편, CDP는 2003년부터 매년 세계 금융ㆍ투자기관 315곳을 대신해 세계 주요 상장기업들의 온실가스 탄소배출량 및 경영전략을 수집,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하며 기후변화가 기업의 미래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경영진에게 주지시키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7/09/27>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플래스틱] 패키징, 친환경 규제 대응 신기술 대공개 | 2025-11-19 | ||
| [아로마틱] 반도체약품, 미국 수요 대응 개발능력 강화 | 2025-11-13 | ||
| [안전/사고] TMAH, 누출 사고 현장대응 지침 확립 | 2025-11-06 | ||
| [반도체소재] 반도체, 한국 접착제 제거제 수요 대응 | 2025-11-06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염료/안료] TiO2, 아시아 공급과잉 장기화 특수화·초미세화로 대응 | 2025-11-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