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바이오기술 최정상을 선도한다!
KAIST 바이오융합 이상엽 연구소장 평가 … 연구비는 미국의 1% 이하 KAIST 바이오융합연구소가 시스템 생물학 및 게놈정보 활용 통합 생물공정기술개발 등을 통해 세계 산업바이오기술 연구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KAIST는 산업 바이오기술 분야의 세계적 전문가인 덴마크의 존 빌라슨 교수가 최근 Chemical Engineering Science에 발표한 논문에서 바이오융합연구소 이상엽 공동소장을 동아시아 바이오텍분야 선도자(East Asian Trendsetter in Biotechnology)로 높이 평가했다고 1월9일 발표했다. 바이오매스 등 재생 가능한 원료에서 화학 물질과 에너지를 생산하는 산업 바이오기술은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돌파하는 등 원유 기반 화학물질 생산과 에너지 수급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데 따라 세계적으로 관심이 커지고 있는 분야이다. KAIST 특훈교수와 LG화학 석좌교수이기도 한 이상엽 소장은 융합 연구를 통한 시스템 대사공학으로 세계 최고 효율의 숙신산 생산 기술과 필수 아미노산인 발린과 쓰레오닌의 고효율 맞춤형 균주, 바이오에탄올 보다 성능이 우수한 바이오부탄올 생산 균주 등을 개발해 바이오 리파이너리(Biorefinery) 및 바이오에너지 분야에서 세계적 주목을 받는 연구 성과를 냈다. 연구 결과들은 1년간 바이오테크놀로지 바이오엔지니어링지 특급ㆍ표지논문으로 발표됐고 미국 국립학술원회보지(PNAS), Molecular Systems Biology 등 학술지에도 발표됐다. 관련 특허는 70여건에 이른다. 이상엽 소장은 “KAIST 바이오융합연구소는 교수, 학생, 연구원들이 다양한 기초과학 및 공학 분야 연구를 바이오 분야에 융합,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며 “시스템 생명공학, 바이오리파이너리, 바이오에너지 분야 연구 결과는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연구비는 미국 경쟁 연구진의 100분의 1도 안되는 수준이어서 국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KAIST는 미래 세계적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7개 융합분야를 선정해 바이오융합연구소, 정ㆍ전자융합연구소, 복합시스템설계연구소, 엔터테인먼트공학연구소, 나노융합연구소, 청정에너지연구소, 미래도시연구소 등을 각각 운영하고 있다. <화학저널 2008/01/09> |
한줄의견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