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환경제품으로 아시아 시장 공략 용제의 핵심 용도는 도료 및 인쇄용 잉크로 최근 들어 저 VOCs(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무 VOCs 등 환경·안전규제 강화를 배경으로 친환경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도료나 인쇄잉크 외에도 접착제, IT관련 분야에서 사용되는 세정제도 친환경 용제로 전환되고 있다. 아시아에서도 친환경 제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도료기업을 비롯해 수많은 일본 기업들이 진출한 중국시장이 눈에 띄게 확대되고 있다. DMSO, 반도체·액정용 수요 급증 DMSO(Dimethyl Sulfoxide)는 각종 유기·무기 화합물에 대한 용해력이 뛰어나고 안정성이 높은 극성비플루톤 용제로 전자공업분야에서 박리제·세정제는 물론 의약·농약의 합성반응용매, 아크릴(Acryl) 섬유용 중합·방사용매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어 수급이 타이트한 상황이다. 일본에서는 40년전부터 DMSO를 아크릴섬유의 중합·방사용매 제조용으로 사용해왔으나 1990년대부터 전자공업분야에서 박리제 및 세정제로 용도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반도체·액정 수요 증가로 소재 수요가 급증해 현재는 전체 DMSO 수요의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의약품·농약· 안료 등의 합성반응용매, 화학제품용이 뒤를 잇고 있다. 표, 그래프 | 일본의 용제 생산동향 | 일본의 도료·인쇄잉크 생산동향 | <화학저널 2008/6/23>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반도체소재] 파워반도체 ①, 한국, 생태계 구축에 주력 일본, 기술 격차로 대응한다! | 2025-11-28 | ||
| [반도체소재] 첨단 반도체, 대용량 전송 니즈로 “혁명” 일본, 독자 기술로 앞서간다! | 2025-11-28 | ||
| [건축소재] 반도체 기술 진화, 반도체 패키징용 고도화 타고 일본이 글로벌 시장 장악한다! | 2025-11-21 | ||
| [EP/컴파운딩] 우레탄 ②, 일본, 감산에도 수익성 악화 자동차·주택경기 침체 “심각” | 2025-11-21 | ||
| [배터리] 일본, 한국 배터리 소재 공략 어렵다! | 2025-11-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