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억달러 투입 하루 1250만배럴로 확대 … 중앙은행 역할 회복 사우디가 석유 수급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투자가 위축되는 추세에 역행해 1000억달러를 투입해 생산여력을 조용히 늘려가고 있다.Financial Times에 따르면, 사우디가 총 1000억달러가 투입되는 5개년 석유생산 프로젝트를 통해 석유 생산능력을 하루 1250만배럴로 늘렸으나 실제 산유량은 830만배럴로 유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사우디가 생산 가능한 유전의 3분의 1 가량을 닫아둔 상태라면서 국제유가가 배럴당 70달러 내외로 사우디를 비롯한 OPEC(석유수출국기구)이 만족스런 상황에서 산유 정책을 굳이 손질할 필요를 느끼지 않고 있다고 분석했다. 사우디는 세계 석유 생산능력의 90% 가량을 확보한 상황에서 나이지리아와 이란, 이라크 및 베네수엘라에서 생산이 줄어드는 것을 보충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국제유가가 앞서 147달러대까지 치솟은 것을 계기로 OPEC, 특히 사우디 원유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미국 등 주요 석유 소비국에서 시작됐기 때문에 사우디가 석유 생산여력을 늘리는 것이 원유 중앙은행 역할을 회복하려는 계산도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Financial Times는 사우디의 장기적인 석유 생산능력 확충이 결국 정치적 카드라면서 충분히 1000억달러의 가치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9/09/0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한국석유, DMAc 시험생산 준비 | 2025-05-14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수익성 개선에도… | 2025-05-09 | ||
[석유화학] 석유화학, 2025년에도 불황 계속… | 2025-05-0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일본·중국 협력 확대한다! | 2025-05-02 | ||
[백송칼럼] 석유화학, SMR을 장착하라! | 2025-04-25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