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시밀러
삼성전자 진출 발표로 술렁… 세종시 건설 수정안과 관련해 바이오시밀러(Bio-Similar)라는 단어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2010년 초부터 주식시장에서 새로운 테마로 등장했고, 일부 증권기업은 바이오시밀러 제조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도 출시했다. 바이오시밀러가 주목받는 이유는 최근 삼성전자 등 대기업들이 차기 성장동력으로 진출을 선언했고, 최근 세종시에 삼성의 바이오시밀러 사업이 진출할지 관심이 집중됐기 때문이다. 삼성은 결국 세종시 투자계획에서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제외했지만 바이오시밀러를 필두로 한 바이오산업은 황우석 사태의 그늘에서 벗어나 새로운 성장국면을 맞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바이오시밀러는 특허기간이 만료된 바이오의약품의 구조와 제조명법을 모방해 복제약을 만드는 것으로 합성의약품의 복제약보다 개발하기도 어렵고 제조과정도 복잡한 편이다. 하지만, 바이오시밀러가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주목받는 이유는 바이오의약품의 시장성이 밝고 신약 개발에 비해 비용이 훨씬 적게 들기 때문이다. 바이오의약품은 생물체에서 추출한 물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독성이 적고, 특히 난치성 환자나 만성질환 환자에 대한 치료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세계적인 바이오의약품 특허 만료시기가 2012-19년 몰려 있어 시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 시장조사 기관인 데이터모니터에 따르면, 세계 바이오시밀러 시장규모는 2010년 50억달러 수준에서 2015년에는 250억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2009년 7월 신 성장동력 중 하나로 바이오제약을 선정하고 삼성전자, LG생명과학, 셀트리온, 한올제약 등을 바이오시밀러 프로젝트 주관기관으로 정해 연구개발에 300억원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높은 기술장벽과 당 구조 유사율을 높이는 문제, 첨예한 시장선점 경쟁 등이 해결과제로 지적되면서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치킨게임이 예상되고 있다. 표, 그래프 | 바이오시밀러 개발의 성공요소 | 바이오시밀러 가이드라인 | 국내 바이오시밀러 시장 진출현황 | 국내 바이오시밀러 개발현황 | <화학저널 2010/4/1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제약] 바이오시밀러, 일본 시장 진출하라! | 2025-04-17 | ||
[제약]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두각” | 2023-02-14 | ||
[제약] LG화학,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출시 | 2023-01-19 | ||
[제약] 삼성바이오, 바이오시밀러 합작 청산 | 2020-12-02 | ||
[제약] 삼성바이오, 바이오시밀러 다변화 | 2020-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