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실대, 나노 다공성 하이브리드화합물 … 수소자동차 적용 기대 국내 연구진이 획기적인 수소저장 신물질을 개발했다.7월4일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숭실대 김자헌 교수팀은 유기분자와 금속 이온을 결합해 세계에서 가장 큰 표면적을 갖는 나노 다공성 하이브리드화합물(MOF: Metal-Organic Framework) 신물질 개발에 성공했다. 다공성물질의 표면적은 물질 표면에 기체가 흡착될 때 단분자층을 형성한다는 이론 모델을 통해 계산된 것으로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UCLA)와 공동으로 개발됐으며 7월1일 Science 인터넷판에 소개돼 우수성을 입증했다. 김자헌 교수팀은 비슷한 공동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훨씬 가벼운 소재를 사용해 적은 양으로 더 큰 표면적을 구현하는 합성법을 적용했다. 다공성물질은 내부에 1-100nm 크기의 빈 공간을 갖고 있으며, 다공성 하이브리드 MOF는 규칙적으로 배열된 균일한 크기와 모양의 기공이 있어 촉매나 기체 저장물질로 유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수소 및 온실가스 등을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미국, 영국 등 선진국에서는 다공성 하이브리드 신물질 개발이 활기를 띠고 있다. 김자헌 교수팀이 개발한 나노다공성 MOF는 g당 1만㎡(100m×100m) 크기의 운동장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세계 최대의 표면적을 갖는 기초 원천소재로 수소연료 자동차나 가정용 연료전지 저장기술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자헌 교수팀은 2007년에도 세계 최대 4.7나노미터 크기의 공동(내부 빈 공간)을 갖는 하이브리드 화합물을 합성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10/07/0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아로마틱] 방향족, 미생물로 고효율 생산한다! | 2025-05-07 | ||
[정밀화학] 화학연, 고효율 암모니아 촉매 개발 | 2025-02-18 | ||
[신재생에너지] 한화큐셀, 최고효율 탠덤 셀 개발 | 2024-12-19 | ||
[석유화학] 하니웰, ECC‧PDH 고효율화한다! | 2024-10-21 | ||
[기술/특허] 열분해유, 경질 올레핀 고효율 생산 | 2024-09-09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