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윤활유 재활용 사업 “수렁”
정제마진 축소에 수요 줄어 … 관련기업 안이한 행태도 문제 폐유 재활용기업들이 최근 들어 정제마진 악화와 폐기물 확보 문제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폐유 재활용기업들은 전국의 카센터, 선박기업, 제조공장 등에서 사용된 폐유(Used Oil)를 수집해 정제과정을 거쳐 각종 산업체와 대단위 주거시설에 연료유로 공급하고 있다. 재활용을 통해 원유 수입을 대체할 수 있고 환경 페기물의 감소와 일자리 증대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물론 B-C유보다 발열량이 높아 선진국을 비롯해 국내 산업계에도 주목받고 있다. 2007년 기준 폐유 발생량 74만4381톤 가운데 63.8%인 47만5175톤이 재활용됐고 신규 윤활유 판매량의 70%로 자동차용 34% , 선박용 12%, 공업용 24%를 차지했다. 윤활기유에서 윤활유를 만드는 과정상에 산화방지제, 부식방지제, 마모방지제 등이 투입됐고 수요처에서 금속의 마모를 통해 Pb, Zn, Cr, Cd 등 중금속 성분이 폐윤활유에 자연히 섞일 수밖에 없어 재활용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이온정제, 고온열분해, 감압증류 등 정제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2008년 들어 폐윤활유 가격이 높아지고 재생 윤활유 가격이 낮아지면서 재활용 정제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가 계속되고 있다. 폐윤활유 생산기업 관계자는 “1990-2000년대 초엔 마진율이 30-40%에 달했지만 지금은 20%도 되지 않아 단위당 9만원에 폐윤활유를 사서 11만원으로 연료유를 공급하고 정제비, 인건비 등을 빼면 남는 게 없다”며 “이런 양상이 2-3년만 더 지속되면 사업철수를 심각하게 고민하게 될 것”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재활용 연료유 가격을 조금만 올려도 수요처들이 거래처를 바꾸어버려 폐기물 단가 상승을 연료유로 전가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반면, 폐기물 시장 관계자는 “참여기업들이 과거 고물상 운영방식을 버리지 못하고 보다 전문적인 재활용 기술을 받아들이려 노력하지도 않은 채 가만히 앉아 정부의 보조금만 바라보고 있는 행태가 더 문제”라고 꼬집었다. 한편, 정부는 2010년 7월23일 폐기물관리법(2011년 7월24일 시행)을 개정하면서 개정안에 폐기물사업자에 대한 신고제를 허가제로 강화해 불필요한 경쟁을 줄이고 엄격한 심사를 통해 재활용 사업의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국내 재활용기업들의 영세화로 폐기물 분리ㆍ선별ㆍ보관과 중간처리 미흡, 사업자의 회수ㆍ재활용 기술 부족, 제조공정 개선 등이 문제점으로 거론됐고, 수요처의 재활용제품 사용기피, 님비현상과 재활용기업들이 입지기피 등이 맞물려 있어 재활용사업의 앞날이 평탄하지는 않아지고 있다. <박승룡 기자> <화학저널 2011/02/1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플래스틱] SK케미칼, 유럽 재활용 시장 공략 | 2025-10-02 | ||
[배터리] LFP, 재활용 규제 샌드박스를… | 2025-08-06 | ||
[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 재활용 PP로 선순환 | 2025-08-0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폴리머] EPS, 재활용으로 친환경 소재화 일본, 유효이용률 제고한다! | 2025-09-12 | ||
[폴리머] PS 재활용, 일본, 재활용 기술 선도 제2의 PER로 육성한다! | 2025-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