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인듐ㆍ리튬 해외개발 박차
스마트폰용 ITO 원료 수입대체 위해 … 인듐가격 7년간 8배 폭등
화학뉴스 2011.05.11
정부가 희귀금속인 인듐·리튬 등의 해외개발에 가속도를 내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스마트폰의 핵심 소재인 인듐의 해외광산 개발을 촉진하고자 인듐을 법적인 해외자원으로 편입하기로 했다고 5월11일 발표했다. 인듐은 스마트폰의 터치패드를 만드는데 필수적인 물질인 ITO(인듐주석산화물)의 주원료로, 스마트폰의 등장과 함께 수요가 치솟아 가격이 2003년 ㎏당 87달러에서 현재 750달러로 8배 이상 급등했지만 국내에서는 거의 생산되지 않아 전량 수입하고 있다. 지경부는 해외자원개발사업법 시행령을 개정해 인듐을 해외자원으로 편입시켜 해외 광물시장에서 인듐을 본격적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지금까지 인듐은 해외자원으로 등록되지 않아 해외 광산 개발사업을 하려고 해도 외화 반출 등을 할 수 없어 자원개발 활성화에 한계가 있었다. 현재 우리나라는 11톤가량의 인듐을 확보해 놓은 상태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인듐이 해외자원 범주에 편입됨에 따라 자원 개발기업들이 활발하게 해외 광산 개발 사업에 참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와 함께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리튬의 해외자원 개발을 활성화하고자 리튬을 해외자원개발투자회사 등의 투자 대상으로 추가하기로 했다. 리튬이 추가됨으로써 다양한 금융혜택이 주어지는 해외자원개발 펀드를 조성해 해외 리튬 광산을 개발할 수 있게 됐다. 리튬은 이미 해외자원으로 분류돼 있으며, 비축량은 650톤으로 알려지고 있다. <화학저널 2011/05/1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배터리, 정부 ESS 사업 “재격돌” | 2025-09-22 | ||
[배터리] 폐배터리, 정부 지원 고작 “1억원” | 2025-07-24 | ||
[산업정책] 정부, 미국에 상호관세 면제 요청 | 2025-04-25 | ||
[산업정책] 정부, 석유화학 재편 불구경한다! | 2025-04-11 | ||
[환경화학] CCU, 정부 지원 아래 핵심기술 개발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