갇힌 공간에서는 물의 엔트로피 증가 … 해수 담수화 기술 실용화
화학뉴스 2011.07.26
국내 연구진이 물에 반발하는 성질이 있는 탄소나노튜브의 내부 공간에 물을 넣었을 때 물이 빨려 들어가는 원리를 처음으로 규명했다.한국연구재단은 KAIST 정유성 교수팀이 물을 싫어하는 탄소나노튜브 내부 빈 공간으로 물이 스스로 빨려 들어가는 것은 갇힌 공간 안에서 오히려 물의 엔트로피(무질서도)가 증가하면서 안정성을 갖게 되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7월26일 전했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원자가 6각형 벌집 모양으로 결합돼 빨대 같은 형태를 이루는 분자구조체이다. 정유성 교수팀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갇힌 공간에서는 무질서도가 줄어들면서 불안정해지지만 탄소나노튜브에 갇힌 물은 수소결합이 약해지면서 무질서도가 증가하는 특이한 현상을 나타냈다. 탄소나노튜브의 성질을 해수 담수화 작업에 이용할 수 있는데, 탄소나노튜브 내부에서는 물의 이동 속도가 현저히 빨라 기존 역삼투압막보다 에너지 소모량이 낮고 보다 효율적인 막을 개발할 수 있게 됐다고 정유성 교수팀은 강조했다. 연구결과는 자연과학분야의 권위있는 학술지 정유성 교수는 “최근 탄소나노튜브 안으로 물이 빨려 들어가는 성질을 이용해 해수 담수화 기술을 개발하는 벤처기업이 미국에 2곳 생긴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탄소나노튜브의 원리가 규명돼 국내에서도 해수 담수화 기술의 실용화를 한발 앞당길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화학저널 2011/07/2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기술/특허] KAIST, 미생물로 화합물 생산한다! | 2025-04-08 | ||
[배터리] KAIST, 온실 감축 SOEC 개발 성공 | 2025-04-02 | ||
[바이오연료] KAIST, 바이오 플래스틱 개발 성공 | 2025-03-26 | ||
[환경] 아람코·KAIST, DAC 상용화 도전 | 2024-12-03 | ||
[신재생에너지] KAIST, 융합 태양전지 한계 극복 | 2024-10-31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