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희토류 6000톤 확보
남아프리카 프로젝트 지분 30% 인수 … 국내수요의 2배
화학뉴스 2011.08.12
정부가 희토류 확보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지식경제부는 빠르면 2011년 남아프리카 잔드콥스드리프트 희토류 탐사사업 본계약을 체결하고 2014년부터 생산능력 2만톤 중 6000톤을 확보할 것이라고 8월12일 발표했다. 2010년 기준 국내 전체 희토류 수요는 3287톤으로 6000톤은 국내수요의 2배에 달한다. 지식경제부는 희토류 확보 대책논의를 위한 회의에서 남아프리카 희토류 프로젝트의 생산물 지분 30%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또 남아프리카와 같이 오스트레일리아, 베트남에서도 신규 광산 개발에 나서기로 했으며 희토류 부존이 예상되는 베트남ㆍ몽골ㆍ에티오피아 등과 공동 탐사사업을 하기로 하고 탐사할 때 필요한 지질 전문인력을 증원할 방침이다. 지식경제부는 홍천ㆍ충주 등 2곳에서 1차 초기탐사를 한 결과 희토류 광체를 일부 확인했다며 2012년 정밀탐사와 2013년 매장량평가를 통해 경제성과 환경영향성을 검토하기로 했다. 희토류 예상 부존량은 광석기준 홍천 1200만톤, 충추 1100만톤으로 광맥에서 사용가능한 희토류는 평균 품위 0.6-0.65%짜리 14만톤에 달한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그러나 지금 홍천, 충주의 희토류개발 경제성을 판단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지식경제부는 전쟁 등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방출할 수 있도록 희토류 비축량을 현재 62톤에서 2014년까지 1500톤으로 늘리기로 했다. 아울러 자원 순환촉진 기반마련 등을 위해 <국가 자원순환 촉진전략>을 수립ㆍ시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화학저널 2011/08/1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배터리, 정부 ESS 사업 “재격돌” | 2025-09-22 | ||
[에너지정책] 희토류, 국산화 기반 확립 서두른다! | 2025-09-22 | ||
[배터리] 폐배터리, 정부 지원 고작 “1억원” | 2025-07-24 | ||
[산업정책] 정부, 미국에 상호관세 면제 요청 | 2025-04-25 | ||
[산업정책] 정부, 석유화학 재편 불구경한다!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