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Huabei에 PU 생산단지 조성
MDIㆍTDI 20만톤 플랜트 건설 … 2015년 PU 소비량 1000만톤 예상
화학뉴스 2011.09.02
중국 최대의 염전자원을 보유한 Huabei의 Tangshan <하북당산남호개발구>에 CA(Chlor-Alkali)를 토대로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와 TDI(Toluene Diisocyanate) 각각 20만톤 플랜트를 건설하는 Vinly Isocyanate Chain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중국경제의 축이 Huabei 및 환발해 지역으로 옮겨가는 가운데 건축자재용 PU(Polyurethane) 수요 증가에 대비해 Huabei에 생산단지를 건설할 계획이며, 일본 화학기업들도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Habei의 Tangshan에는 환경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Caofeidian Eco 공업구, 태양전지 및 친환경 에너지 설비를 도입하는 Caofeidian Eco City, 그리고 화학산업의 집적지 구성을 목표로 한 하북당산남호개발구가 있어 환발해만과 맞닿아있는 약 2000㎢ 구역에 2020년까지 인구 100만명의 신도시, 화학 및 중공업 중심의 공업지대를 조성할 계획이다. Caofeidian 공업구 전체 인프라 정비로 2010년 Sojitz와 하북당산남호개발구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일본기업의 진출을 위한 물밑작업도 시작했다. 하북당산남호개발구는 가성소다 100만톤 및 PVC(Polyvinyl Chloride) 생산기업인 Tangshan Sanyou Chemical, 한국의 건축자재 생산기업, 중국기업인 SNPTC(국가핵전기술공사)가 공장을 건설하는 등 투자가 이미 시작됐다. 또 Tangshan Sanyou Chemical로부터 염소, Tianjin 및 Dalian 등 발해만 화학단지에서 PPG(Polypropylene Glycol)를 공수해 MDI, TDI를 생산할 예정이다. 중국 PU공업협회에 따르면, 중국의 PU 수요는 계속 증가해 2010년 약 600만톤에서 2015년 약 1000만톤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원료인 MDI는 Chongqing에서 BASF가, Ningbo에서는 Wanhua가 투자를 추진하고 일부에서 과잉공급을 우려하고 있지만 Huabei 지구의 경제규모 확대에 따라 수요증가가 공급증가 속도를 훨씬 웃돌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화학저널 2011/09/0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벤젠, 중국 부진에 다운스트림도… | 2025-10-02 | ||
[무기화학/CA] 차아황산소다, 중국산 반덤핑 판정 | 2025-09-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가성소다,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위기감 인디아·동남아 수요를 잡아라! | 2025-10-02 | ||
[석유화학] 중국, 에틸렌 1억톤으로 확대한다! | 2025-10-02 | ||
[바이오화학] 중국, 바이오 생태계 조성 본격화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