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공공시설 11곳 태양광 설치
2012년부터 태양광 전력 생산 시작 … 3160KW로 1600가구 사용
화학뉴스 2011.09.06
광주시가 11개 공공시설에 태양광을 설치하는 등 신ㆍ재생에너지 거점도시 도약을 추구하고 나섰다.
광주시는 11개 공공시설 32곳에 태양광 시설을 설치하기로 하고, 9월 공모해 사업자를 선정한 뒤 인·허가 과정을 거쳐 2012년부터 태양광 전력을 생산하기로 했다. 태양광 시설이 설치되는 공공시설은 서부 농수산물도매시장, 김대중컨벤션센터, 덕남정수장, 도시철도공사 본사, 옥동차량기지, 하수 제1처리장, 제2처리장, 염주체육관, 빛고을체육관, 세계광엑스포전시관, 광산구 인라인경기장 등이다. 해당기관의 건물 옥상 또는 부지에 태양광 시설이 설치된다. 광주시는 사업자로부터 건물 또는 부지 사용료를 받게 되며, 사업자는 태양광 전력을 판매해 수익을 올리게 되는 윈-윈 구조이다. 11개 공공시설에 설치되는 태양광의 전력 생산량은 연간 3160㎾로 추산되며, 1600가구가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전력이다. <신재생에너지 거점도시>를 추구하고 있는 광주시는 태양광 시설을 설치하는 공공기관 및 민간기관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또 각 기관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시설을 2013년까지 구축되는 태양광발전 시험장(테스트베드)과 연계하기로 했다. 손경종 신재생에너지 담당은 “연구·개발 시설인 태양광발전 시험장과 태양광발전 시설을 연계하면 시너지 효과가 클 것”이라며 “신ㆍ재생에너지 산업의 빠른 성장속도에 발맞춰 다양한 연구·개발과 실용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11/09/0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세방리튬배터리, 광주공장 완공 | 2021-10-13 | ||
[배터리] 세방리튬배터리, 광주에 모듈 투자 | 2021-01-07 | ||
[산업정책] 친환경자동차, 광주-대구 손잡는다! | 2015-12-17 | ||
[화학경영]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파업 “임박” | 2014-11-18 | ||
[신재생에너지] 태양광발전, 공공시설 5곳에 설치 | 2014-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