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물질 관리 범정부 차원 시행
8700톤 유통에 관리는 미흡 … 5년간 964억원 투입해 연구ㆍ규제 나서
화학뉴스 2011.10.26
정부가 나노물질 관리를 위해 적극 나선다.
환경부는 나노물질의 잠재적 위해성으로부터 국민 건강과 생태계를 보호하고 나노기술 및 관련 산업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한 <제1차 나노 안전관리 종합계획(2012-16)>을 10월25일 발표했다. 나노물질이란 일반 물질을 나노 수준으로 작게 쪼갠 것을 말하며, 나노물질에서는 기존 물질에서 볼 수 없었던 항균력, 흡착력, 강도 향상 등 우수한 성질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인체와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아 국제적으로도 안전성 연구가 진행되는 등 나노 안전관리가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OECD, ISO 등 국제기구에서는 주요 나노물질의 안전성 평가와 측정방법 등의 국제 표준을 마련하고 있으며 각국은 자국에 유리한 평가방법을 표준으로 채택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나노물질은 2009년 기준으로 약 8700톤이며 나노제품의 수는 120종으로, 국내 나노기술 경쟁력은 미국의 75%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 최근 나노물질 개발 및 이용이 급증하고 나노물질 안전관리에 대한 국제적 규제 움직임이 가시화됨에 따라 관련 연구 및 규제가 요구되고 있다. 1차 나노 안전관리 계획은 5개 부처에서 5년간 964억원을 투입해 진행되며, 나노 측정ㆍ분석 및 DB 구축, 나노 안전성 평가 기반 구축, 안전관리 제도화 도입기반 마련, 전문인력 양성 및 파트너십 구축 등 4가지 분야로 나누어 추진된다. 1차 계획의 성과를 평가 및 분석해 제2차 계획(2017-21)을 추진할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나노물질의 제조부터 재활용 등 모든 단계를 고려한 안전관리 기틀을 다져 국민 건강과 생태계를 보호하는 동시에 산업 경쟁력을 강화해 국제시장을 선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황지혜 기자> <화학저널 2011/10/2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중국, NEV 폐배터리 관리 엄격화 | 2025-09-16 | ||
[환경] 롯데케미칼, LCA 관리체계 “확대” | 2025-07-28 | ||
[화학경영] SK온, 지주사 밀착관리 체제로… | 2025-07-16 | ||
[환경] UN, 화학물질 관리를 표준화한다! | 2025-06-27 | ||
[농화학] 농업, AI·IOT화로 원격관리 확대 | 2025-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