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R&D예산 소재 중심으로 재편
소재ㆍ부품 R&D예산 60% 소재 지원 … OLEDㆍ탄소ㆍ희토류 개발
화학뉴스 2011.11.01
정부가 소재 분야에대한 R&D 지원을 확대한다.
지식경제부는 11월1일 코엑스에서 소재산업 성장을 위한 <소재ㆍ부품 미래비전 2020> 선포식을 열고, 소재ㆍ부품 연구개발(R&D) 예산에서 소재 분야에 지원하는 비중을 2010년 43.5%에서 2020년까지 60%로 끌어올리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또 그동안 부품 중심으로 정책을 펴왔다고 평가하면서 앞으로 소재산업에 본격적으로 투자하겠다고 강조하며 30대 전략적 핵심 소재와 10대 핵심 국방 소재를 선정 및 발표했다. 30대 전략적 핵심 소재는 화학, 섬유, 금속, 세라믹 등 4개 분야에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핵심 소재, 초경량 탄소 소재, 디스플레이 형광체용 희토류 소재, 초전도 소재 등이 선정됐다. 지경부 관계자는 “2020년 세계 시장규모가 3억달러 이상에 달하면서 시장점유율 70% 이상 달성이 가능한 것들을 모은 것”이라고 밝혔다. 10대 핵심 국방 소재는 최소저항 유체표면 구조재, 내마멸 세라믹 다층 코팅재, 전자파 흡수 복합 소재 등이다. 지경부는 “비전이 성공하면 2020년까지 수출에서 소재ㆍ부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0년 49.1%에서 55.0%로 늘어날 것”이라며 “금액으로 환산하면 2010년보다 2.8배 증가한 6500억달러이며, 무역수지 흑자는 3.2배 늘어난 2500억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아울러 매출 2000억원, 수출 1억달러 이상의 소재ㆍ부품 <중핵기업>도 241개에서 800개로 늘고, 전문기업도 3353개에서 6000개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10개국 60개 글로벌 소재ㆍ부품기업 관계자 100여명이 250여개 국내기업 관계자들과 수출 상담을 진행했으며, 4건의 MOU를 체결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11/11/0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배터리, 정부 ESS 사업 “재격돌” | 2025-09-22 | ||
[배터리] 폐배터리, 정부 지원 고작 “1억원” | 2025-07-24 | ||
[산업정책] 정부, 미국에 상호관세 면제 요청 | 2025-04-25 | ||
[산업정책] 정부, 석유화학 재편 불구경한다! | 2025-04-11 | ||
[환경화학] CCU, 정부 지원 아래 핵심기술 개발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