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FT-LCD 생산능력 대폭 증가
스마트폰ㆍ태블릿PC가 견인 … 2014년 3000만평방미터 상회
화학뉴스 2012.02.08
LTPS(Low Temperature Polysilicon)와 산화물반도체를 사용한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생산능력이 대폭 증가할 전망이다.
당분간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중소형 디스플레이가 시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이며 고정밀화, 에너지 절약 등 시장의 요구로 고이동도, 고광투과성을 실현하는 백플레인(Backplane)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샤프(Sharp), LG디스플레이, 삼성전자가 산화물반도체 방식을 출시할 계획이며, 5G 생산설비와 LTPS 전용 라인도 개시될 예정이어서 앞으로 생산능력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DisplaySearch에 따르면, 2011년 LTPS와 산화물반도체의 백플레인을 사용한 LCD패널 생산능력은 560만평방미터로 전년대비 무려 50% 증가했고, 2012년에는 2.5배인 1410만평방미터, 2014년에는 3000만평방미터를 넘을 것으로 예측된다. LTPS는 전자이동도, 광투과율이 높고 박막화가 쉬워 드라이버 회로를 기판 위에 얹을 수 있기 때문에 고정밀화, 저소비전력화할 수 있고, 산화물반도체도 전자이동도가 높아 고정밀화, 저소비전력화가 가능하고 대면적화도 쉬워 프로세스를 간소화할 수 있는 기술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산화물반도체는 유기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에서도 활용이 검토되고 있고, LCD 시장에서도 코스트 절감 뿐만 아니라 대화면화, 고정밀화, 고속구동 등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 LTPS, 산화물반도체의 이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화학저널 2012/02/08>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반도체소재] TOK, 평택·송도 생산능력 확대 | 2025-08-28 | ||
[무기화학/CA] OCI, 반도체용 인산 생산능력 확대 | 2025-08-0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합성섬유] PTA, 생산능력 감축은 생존문제 일본은 아예 생산을 접는다! | 2025-10-02 | ||
[EP/컴파운딩] PEEK, 중국 생산능력 확대일로… | 2025-09-26 | ||
[아로마틱] BTX, 중국발 공급과잉 심화 일본, 생산능력 감축한다! | 2025-09-12 |